좋은 아침입니당 ^^ 아직 아침으로 쌀쌀 하네요 ㅋㅋ 봄은 언제나 오려나요? (아직 춥네요 ㅠ.ㅠ)
무역이나 해외영업 혹은 외국을 상대로 Business를 함에 있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 아마 L/C가 아닐까 싶은데요 ....
비단 무역 뿐 아니라, 해외를 상대로 이런 저런 사업을 진행하시고 계시는 분들께서는 L/C와 친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는 것도 같습니다. ㅋㅋ
비지니스를 함에 있어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돈이 오고 가야 한다는 것이지요?
물건 파는 것은 둘째치더라도, 돈을 주고 받는 행위에 대해 안전성 만큼은 보장이 되어야, 이런 저런 거래가 이루어 질 수 있을 텐데요... 이런 이유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되는 것이 L/C가 아닐까 싶습니다.(컨테이너 탄생과 더불어, 무역에 가장 기여한 결제 시스템이라는 생각입니다.)
헌데, L/C에 의한 거래방법(결제)은 안전성이 잘 보장 되는 만큼, 잔 손 또한 많이 가는 것이 사실인데요 (요것만 따로 다루는 파트도 있습니다 : 일명 Nego 팀 혹은, 서류팀 ^^;;)
제가 처음 L/C를 접했던 것은 실제 직장에서 업무를 보기 이전인데요 .... 당시 "국제무역사"라는 셤을 준비를 하면서, L/C의 종류 및 활용 방법에 대해 대략적 이나마 감을 잡아 볼 수 있었습니다.
☞ 인터넷 서점 참조 링크 걸어 두었습니다. 국제 무역사, 무역영어책 검색 치면 간편하게 바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교보문고(kbbook) : 책보러가기
▷ 인터넷서점 리브로(libro) : 책보러가기
▷ 삼성북스닷컴(ssbooks) : 책보러가기
▷ 인터넷영풍문고(ypbooks) : 책보러가기
물론, 당시에 공부했었던 내용이 업무를 진행해 봄에 있어 좋은 중심을 잡아주었던 것 또한 사실이고요 ^^
(군대용어로 일명 FM인 거죠 ㅋㅋㅋ)
그래서 오늘은 이 L/C란 놈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하는데요, 문자로 L/C(letter of credit) 공부 하는 것 만큼 곤욕스러운 일 또한 없는 것 같습니다. ㅠ.ㅠ. 그리하야, L/C 이해와 더불어 무역 전반 프로세스 설명을 위해 아래 그림을 작업해 보았습니다. 가물 가물한 기억도 더듬고 말이죠 ㅋㅋㅋ
우선, 수출은 크게 아래와 같이 2가지 경우로 살펴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② Buying agency 혹은 중간 상인(쉽게 말해 Broker ex)오파상 거친 수출 )
이중에 ......
② 번과 같은 경우, 크게 아래 두가지 형태로 나뉜다고 보시면 됩니당 ^^
Local 거래(Local L/C)에 의한 :
▷ 국내의 업체에서 물건을 소싱(Sourcing) 하여 판매하는 경우
삼국간 무역을 통한 :
▷ 국외(보통 중국)의 업체에서 물건을 소싱(Sourcing) 하여, 국외의 바이어(End user)에게 판매하는 경우
* 당사자간의 요구 혹은 은행간의 요구 조건에 따라 ....
Ex) 중간에 은행이 하나 더 있는 경우, Usance L/C를 사용하는 경우 등 등, 변화될 수 있는 상황은 아주 많지만.....
☞ 전반적인 맥락은 아래와 같습니당..(흐름에 촛점을 맞쳐 봤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 즉, ①번 비스무리한 상황으로 한정하고 그림을 전개 하겠습니당 ^^
일단 상대방과 거래 의사를 확인해야 겠지요? 물건을 팔건지(살건지) 구체적인 협의가 이루어지는 단계로,(Inquiry) (Sample 발송) (Offer - Counter offer)등등이 이루어지고, 계약이 이루어지면 결제에 관한 협의도 하게 됩니다. (주로 E-mail로 하겠네용)...헐 근데... 중요한 계약일 경우에는 실제로 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제주도 관광 한번 시켜 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ㅋㅋ KAL호텔 : 바로가기
물건 파는 사람은 물건 팔아 놓고, 돈 못받을까 노심초사 하는 것이 인지상정, 물건 살 사람 또한 물건 Reselling or Distributing 하기로 계획 다 세워놨는데, 물건 제때 안 오면 망하는 건 식은죽 먹기.(회사나름:한 두번이야 머 ㅋㅋㅋ)
은행의 입장에서는 바이어의 신용을 "머리부터 발끝까지" 체크 한 후, 괜찮다 싶으면 수수료를 챙기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게 됨.. 은행의 입장이야 .. 서류좀 전달해 주고 앉아서 돈을 버니, 나름 괜찮은 장사. 웬만해서는 L/C 오픈 해 주지도 않음.
바이어 탈탈 털어 10억 나오는 수준이면, 꼴랑 몇억 정도 보증 서줄까 말까함.(Buyer 실적, 상항에 따라 유동적임)
바이어가 L/C를 오픈을 요청하면, 바이어측 은행(그림상으로 씨티은행)은 수출자가 바이어에게 요구한 조건에 따라, 혹은 바이어의 요구 조건에 따라 L/C를 열어줌.
통지은행(그림상으로 우리은행)은 l/c가 모조품인지 진짜인지 면밀히 검토 후 제조사에게 L/C가 열린 사실을 알려줌. 제조사 :수익자(Beneficiary)는 L/C를 찾아와 본격적으로 수출에 박차를 가함.
☞ 돈받을시 제출 서류 = 매입시 제출 서류
2. 환어음
3. 수출신용장 원본 (L/C 방식의 거래경우)
4. 선하증권 (B/L) - 물건을 보낸 후 선박회사로 부터 물건 보냈다는 증거로 교부 받음 B/L은 즉 물건, Money와 같음
5. 상업송장 (Commercial Invoice)
6. 포장명세서 (Packing List)
7. 보험증권, 원산지증명서(Insurance policy, Certificate of Origin)
8. 기타 신용장이나 수출계약에서 요구하는 서류
협상이라고 했다간 죽도록 맞는 수가 있어요. 매입 !!! 즉, 서류 건네 주고 돈 미리 땡겨 받는 행위라고 이해 하면 됩니다.
L/C 오픈 해준 은행(Issuing bank)이 최초 서류 매입해준(그림상 신한은행) 은행에게 서류 건네 받고 돈을 땡겨줌, 중간에 은행이 하나 더 잇는 경우도 잇음(이럴 경우 Renego 과정이 일어남: 쉽게 말해, 복잡해 죽겟는데...중간에 은행이 하나 더 잇음)
Buyer는 서류 들고 항구로 가서 물건이랑 교환 (실제로는 항구에 안갈듯 ㅋㅋ)
바이어는 최대한 빠르게, 후다닥 물건 처리해서 수고해준 Opening Bank(그림상 시티은행)에게 일종의 땡겨쓴 돈 갚아줌.
'인터넷이야기 > e-비지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원홍보 방법 마케팅과 학원홍보 대행해 드립니돠 ^^ (1) | 2012.12.03 |
---|---|
[2011 이베이 정책 변화], 이베이 판매 관련 2011년 1차 이베이 정책변경 내용 (13) | 2011.05.21 |
[한경희생활과학 스팀다리미 추천, 스팀청소기 추천] 한경희 혼수용 스팀 다리미는 인기 많아 품절이네요 (15) | 2011.05.16 |
[침대정보, 수면정보]시몬스침대 가격 vs 오픈마켓(시몬스 침대가격) 비교, 침대와 매트리스 청소 (33) | 2011.04.29 |
해외구매로 트루릴리젼, 나이키, 노스페이스, 기타 명품등 저렴하게 [해외구매,구매대행] (31) | 2011.04.11 |
[봄트렌치코트,남여트렌치코트]- 트렌치코트 구입요령 및 이쁜 곳 (16) | 2011.02.22 |
[명함만들기,명함제작]-명함도 에티켓이 필요하다고? (19) | 2011.02.21 |
[해외구매, 해외직접구매]-해외구매대행 잘알고 해외쇼핑 저럼하게 (35) | 2011.02.21 |
[조엘컴, SNS신화]- 조엘컴이 말하는 성공적 비지니스 tip (30) | 2011.02.16 |
[백보람 온라인 쇼핑몰] - 백보람 대박 뭔가 이유가 있겠지 (9) | 201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