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들 정치무관심, 나 살기 바쁜거 같은데 => 근데 이거 .   
                                             ↙↖        →                                      →
When we talk about young people not caring about politics, {not knowing about anything / beyond their own lives}, we are often wrong.

우리가 이야기 할때 .. 젊은 사람들에 대해 .. 정치에 신경 안쓰는, 알지못하는 .. 자신들의 삶 너머로는 어떤 것도, 우리는 종종 틀렸습니다. 


낮은투표율이 증거라면 증거인데 => 근데 이거 => 젊은이들을 실망, 거리감 만드는 건 바로 정치     
                                                                                                            ↙<=>↖
Low voter-turnout rates are often taken as indicators of indifference, as (proof that young people care only about themselves), but perhaps it is politics that fails young people and creates distance. 
                                                    ↖↙    t/v1                               t/v2

낮은 투표율은 종종 받아들여집니다 ..무관심의 지표로써, 증거로써 말이다... 젊은 사람들이 오직 그들 자신들만을 신경쓴다는, 하지만 아마도 그것은 정치일 겁니다 .. 젊은 사람들을 실망시키고 그리고 거리감을 만드는 바로 그거 말입니다. 



소외감: 어른들의 주된 두려움, 근데 젊은이들을 비난하는 말이 만들어 낸 상태일 뿐.    
  n. 소외감, 왕따감 ㅋ 
(Alienation, {or the feeling of disconnection from others and from society},) is a central adult fear, but is a (condition that the youth-blaming discourse itself often serves to create).  * create (a condition) 
      ↖↙목/관                       n. 말, 이야기        v. 일조하다, 도움이 되다  
소외감, 혹은 단절의 느낌... 다른이로 부터 그리고 사회로 부터, 이건 ... 주된 어른들의 두려움이다, 하지만 ... 어떤 한 상탱이다 .. 젊은이들을 비난하는 말 그것자체가 종종 일조해 만들어내는 상태 말이다. 



오늘날의 젊은이들: 이전 세대보다 소외되었다는, 또한 소외감을 폭력으로 바꾸려한다는 증거 X   
                            ↙<= ①>↖                                                                                  (were alienated)     
There is no evidence that young people today are any more alienated / than previous generations were, nor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turn alienation into violence.                                                                                  <= ②>
어떤 증거도 없다 .. 오늘날의 젊은이들이 .. 보다 더 소외 되어졌다는 ... 이전의 세대들이 그랬던 것 보다 말이다, 또한 .. 그들이 훨씬더 소외감을 폭력으로 전환시키려한다는 증거 또한 없다.



젊은이들의 문화는 소외감 만들지 않음   
Youth culture does not create alienation
젊은이들의 문화는 소외감을 만들어 내지 않는다. 
                                                            

반대로, 비주류 사람들과 관계를 만듬. 
                                                                                  ↙↖
On the contrary, it frequently creates connections for (those who feel outside of the mainstream).
반대로, 그것은 종종 연결(관계)를 만든다 ... 그러한 사람들을 위해 ... 주류의 바깥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말이다. 



젊은이들 배척(단절), 젊은이들의 욕구를 충족 못시키는 건 => 바로 기성세대의 정치임.          
                                     ↙                          ↖
It is adult-run institutions, {like politics}, that exclude and caricature youth and fail to meet the needs of many young people.                                                     v. 희화하하다
그건 바로 ...어른들이 운영하는 제도이다, 정치와 같은 ...젊은이들을 배척하고 희화하는 게 말이다 .. 그리고 .. 종종 많은 젊은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이것도 바로 (정치와 같은) 제도이다.



Young people are sometimes considered _____(A)_____ society, but it is the older generation who is to blame for _____(B)_____ what the youth do and need.
젊은이들은 때때로 여거진다 ... 사회로부터 단절되어 있다고, 그렇지만 그거은 기성세대이다 ... 비난받아야 할(책임이 있는).....젊은이들이 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무시한 것(도외시 한 것)에 대해 말이다.



① burdensome upon         ...........      justifying
② dangerous to              ............       dictating
③ dangerous to              .............     neglecting
④ disconnected from    .........   neglecting
⑤ disconnected from       .............     dictating



소재: 젊은이들에 대한 기성세대의 비판


우리가 젊은이들이 정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고, 그들 자신의 삶을 제외하고는 어떤 것도 알지 못한다고 말할 때, 우리는 흔히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낮은 투표율은 자주 무관심의 지표로, 젊은이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진다는 증거로 제시된다. 그러나 아마도 젊은이들을 실망시키고 거리감을 만들어 내는 것은 바로 정치일 것이다. 소외감, 즉 다른 사람들과 사회로부터의 단절감은 어른들의 주된 두려움이지만 젊은이들을 비난하는 말 자체가 흔히 일조하여 만들어 내는 상태이다. 오늘날 젊은이들이 이전 세대들이 그랬던 것보다 조금이라도 더 소외되었다는 그 어떠한 증거도 없으며 그들이 그 소외감을 폭력으로 전환시키는 경향이 더 많다는 증거도 없다. 젊은이의 문화는 소외감을 만들어 내지 않는다. 그와는 반대로 그것은 주류 바깥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자주 연결 관계를 만들어 낸다. 젊은이들을 배척하고 희화하며 많은 젊은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것은 정치와 같은 어른들이 운영하는 제도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