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일단하기  VS  (B) 제대로 하기     

                                                                 (S)      V      
(Difference in degree of interest-in-the-problem) creates (the fundamental division of all mankind): between (those who believe in getting things done), on the one hand, and (those who believe in doing things right), on the other.                          A                                                                                                 B
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 차이가 .. 모든 인류의 기본적인 구분을 만들어 낸다: (한편으로는), 일을 마치는 것에 대해 믿는 사람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올바르게 일을 하는 것을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 말이다.  




                           
복잡한 문제 대부분은
 => (A) 성향 결과      
  

                                          ↙↖                                    (S)  V           
(Most of the complex problems we've got in this country today) are (the result of thoughtless, "can-do" men attempting to solve once-simple problems in careless ways that left a mess, {left nasty half-solved problems}, {like wounded lions}, / in all our streets.)                           ↙      
 오늘날 우리가 이 나라에서 갖고 있는 복잡한 문제들의 대부분은 ...... 결과이다 .... 생각없고, "할수 있어 하는(의욕넘치는)" 사람들의 결과이다 ..... (그 사람들이 무엇을 하냐면)... 시도를 하는 것이다.. 전에는-간단한 문제를 풀도록 말이다...(방식은) 부주의한 방식으로다가 말이다......(그 방식은) ... 남겼는데 ... 아주 엉망을,  고약한 반-만 해결된 문제들을, 상처입은 사자들처럼, 우리의 모든 길에다가 말이다.     






                                                                                                                                                        

(A)는 유혹적 <<< (B): 올바른 방법 (=제대로 하기)이 더 쉬웠음을 깨달음       

                                                   V                            
(Simple solutions and easy ways) seem very seductive, but when you go to repair something for the third or fourth time, you realize / it would have been truly easier to have done the job carefully in the first place. 
간단한 해결책과 쉬운 방법들은 매우 유혹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신이 수리를 하러 갈때 ... 세번째 혹은 네 번째 말이다, 당신은 깨닫는다....(이건 뭐) 정말로 더 쉬웠을 것을 말이다 ... 그 일을 신중하게 했었다면 말이다... (애시당초) 처음에 말이다.  



                                                                                                              
                                "(B)의 현실"  
=>  "올바른 방법은 어려운 방법이니 피해야 되는 것 (정도로) 오해 안한다."
 (B) "올바른 방법 = 어려운 방법" => 그러나, 사리있는 사람은 달리 받아들이지 않음 => (B) 긍정       

"The right way is the hard way" sounds like one of life's cruel truths, but reasonable man wouldn't have it otherwise.                                                                                                                                               달리, 다르게
"올바른 방법은 어려운 방법이다" 라는 말은 .... 마치 들린다 ... 인생의 냉엄한 진실 중 하나로 말이다, 그렇지만 사리를 아는 사람이라면 그것을 다르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약 먹으면 쉬운데, 어렵게 한다고..잘못된 거라고?           ↗"the hard way"
뭣이라?  땀흘려서 살빼는게 잘못된 방법이기도 하다고?          (B)의 "현실"을 까지 마셈.  => (B) 옹호(긍정)       
 "어려운 방법이 잘못된 방법" 이기까지 하다고? 이건 부당=> (B)는 어려운 방법 (상황)자체로 이미 족함     

                                                 | ̄ ̄ ̄ ̄ ̄ ̄ ̄ ̄ ̄ ̄ ̄ ̄ ̄ ̄ ̄|      ↑                               
({For the hard way} to be the wrong way too) would be completely unfair; it's bad enough the way it is.
                          ↘↗                                
어려운 방법이 또한 잘못된 방법이기까지 한다는 건 전적으로 부당하며; 충분히 안좋다 ... 그것 자체로 말이다.      












Getting things done               Simple solutions and easy ways => seductive 


Most
of the complex problems  
 
- to solve once-simple problems in careless ways 
- thoughtless, "can-do" men / left a mess / left nasty half-solved problems  


VS


doing things right     

it would have been truly easier
to have done the job carefully in the first place.
     => 첨부터 제대로(올바른 방법)가 쉬웠음을 깨달음 
                                                                                         
                                
"The right way is the hard way"                                        => (물론) 올바른 방법은 (나름) 힘들

- one of life's cruel truths                                                     
- but
reasonable man wouldn't have it otherwise.      => 그렇지만, 사리를 아는 사람이라면 그러려니 하지...

"For the hard way to be the wrong way too"        => (근데) 제대로(어려운 방법)으로 하는 게 잘못된 (것이기도) 
                                                                          한다 안그래도
 나름 힘든 길, 너 같으면 가겠삼
?
- completely unfair
- it 's bad enough the way it is.           => 처음부터 제대로 하기(비록 어려울 수 있어도) 잘못된 거라면 부당하지.


① Easy Way to Get Things Done

② Aiming High: Be the Best You Can Be
③ Breaking Bad Habits: Easier Said than Done
④ Simple Steps to Keep Your Surroundings Clean
⑤ Do It Right the First Time; Save Yourself Trouble


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 차이가 모든 인류의 기본적인 구분, 즉 한편으로는 '일을 마치는 것'의 가치를 믿는 사람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일을 올바르게 하는 것'의 가치를 믿는 사람들 사이의 구분을 만들어 낸다. 오늘날 이 나라에서 우리가 갖고 있는 대부분의 복잡한 문제는 경솔하고 '의욕에 넘치는'사람들이 전에는 간단했던 문제들을 엉망인 것을 우리의 모든 길에 남기고, 상처 입은 사자처럼 반밖에 해결되지 않은 고약한 문젯거리를 남겨놓는 부주의한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시도한 결과이다. 간단한 해결책들과 쉬운 방법들은 매우 유혹적으로 보이지만 여러분이 어떤 것을 세 번째 또는 네 번째 수리하러 가게 될 때, 여러분은 애초부터 그 일을 주의해서 하는 게 진정 더 쉬웠을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옳은 방법은 어려운 방법이다."라는 말은 인생의 냉엄한 진실 가운데 하나처럼 들리지만, 사리를 아는 사람은 다르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어려운 방법이 또한 그릇된 방법이기까지 하다는 것은 전적으로 부당하며, 그대로도(어려운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지 않은 상태이다.







운동 중단하면 (근육 => 지방)으로 바뀔거라 생각하나    
 
           
  S           V                                                           s          v       n. 지방
Many people believe / that {if they stop exercising}, their muscle will turn to fat.
많은 사람들은 믿는다 .... 만약 그들이 운동을 중단하면, 그들의 근육이 지방으로 바뀔거라고 말입니다. 
                                                                                             
                                 

                                              
                      


사실이 아님  (둘 다 다른 한쪽으로 변하지 않음)           

                                                 A            B                                             muscle  <-  the other ->   fat 
This is simply not true; neither muscle nor fat will turn into the other.          나는 나                             는 너
이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근육이나 지방 둘다 다른 한쪽으로 변하지 않는다. 
                                                    * 수일치: B




둘다 몸속에서 특정역할을 하는 특화된 조직.    
= muscle and fat                        ↙           ↖
Both are (highly specialized kinds of tissue that play specific roles in your body).
둘다 .. 매우 특화된 종류의 조직이다 ... 특정한 역할을 하는 .. 당신의 몸속에서. 


근육 구성:  스파게티같은 섬유 ⊃ 수축성 단백질 (힘 분출하도록 설계)   
                                                        ↙↖                                          ↙↖ p.p: ~ 된
Muscles consist of (spaghetti-like fibers that contain contractile proteins designed to exert force).
근육은 구성된다 스파게티-같은 섬유로 ...수축성단백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그건) ...힘을 분출하도록(쓰도록) 만들어진

지방 세포: 지방을 저장하도록 설계 된 둥근 용기     
                                            ↙↖
Fat cells are (round containers designed to store fat).
지방 세포는 둥근 용기이다... 지방을 저장하도록 만들어진. 






근육 증감 이유훈련 하면 (근육 섬유) 크기가 증가, 운동 멈추면 작아짐        
                     ↙(why)                          (S)  V             s          v                                                  ↔
(The reason muscle grows or gets smaller) is that training increases the size of muscle fibers, whereas (stopping exercise) reduces the size of these fibers. 
            (s')        v'
이유 ... 근육이 성장하고 혹은 작아지는 이유는 말이다... (바로 이거다) ... 훈련이 근육섬유의 크기를 증가시킨다는거, 반면 운동을 중단하는것이 이러한 섬유의 크기를 줄인다는 것이다. 
 

지방증가: 과도한 칼로리 섭취로 지방을 더 저장할 시   VS     지방감소:  섭취 보다 칼로리를 더 쓸 시    
                                                                                        ~ 때문에                         n. 섭취  * due to + N
Fat cells, {in contrast}, grow in size / as they store more fat / due to excessive calorie intake.
지방 세포는, 반면에, 크기가 자란다 ... 그것들(지방세포)이 더 많은 지방을 저장할때 말이다 ... 과도한 칼로리 섭취 때문에 말이다. 


                              
If, {on the other hand}, you use more calories / than you take in, fat cells shrink.
만약, 반면에, 당신이 더 많은 칼로리를 쓰면 .. 당신이 섭취한 것 보다, 지방세포는 줄어든다. 




                                      
어떤 경우도 (근육 => 지방) 안 바뀜,  반대그렇다 (지방 => 근육 X)          

  (부정어구 문두 의문문 어순 도치            (S) "일반V"                                             반대로도, 역으로도
But in no case do (your long, thin muscle fibers) change into round masses of fat, or vice versa
하지만 어떤 경우도 당신의 길고, 가는 근육섬유가 바뀌진 않는다 ... 둥근 지방덩어리로 말이다, 혹은 그 반대도 그렇다(바뀌지 않는다.)


① Why People Try to Build Up Muscle                                        왜 사람들이 근육을 키우려 하는가?
② The Best Way to Get Fit: Weight Training                                 건강해지는 최고의 방법: 웨이트 트레이닝
③ How to Make Your Body Function Properly                              당신의 몸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만드는 방법
④ Weight Gain Comes from Excessive Calorie Intake                   몸무게 증가는 과도한 칼로리 섭취에서 온다.
⑤ Behind the Myth that Unused Muscle Turns to Fat       사용되지 않은 근육은 지방이 된다는 믿음의 이면
                    

많은 사람은 만약에 그들이 운동을 중단한다면, 그들의 근육은 지방으로 바뀔 것이라고 믿는다. 이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근육이나 지방 둘 다 다른 한쪽으로 변하지 않는다. 둘 모두는 여러분의 신체에서 특정한 소임을 수행하는 매우 특화된 종류의 조직이다. 근육은 힘을 쓰도록 만들어진 수축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스파게티 모양의 섬유로 구성된다. 지방 세포는 지방을 저장하도록 만들어진 둥근 용기이다. 근육이 커지거나 더 작아지는 이유는 훈련이 근육 섬유의 크기를 확대하는 반면, 운동을 중단하는 것은 이 섬유의 크기를 줄이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서 지방 세포는 과도한 열량 섭취로 인해 더 많은 지방을 저장할 때 크기가 커진다. 이에 반해서, 여러분이 섭취한 것보다 더 많은 열량을 사용한다면, 지방 세포는 줄어든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여러분의 길고 가느다란 근육 섬유가 둥근 지방 덩어리로 바뀌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미국 원주민 언어 2세기 동안 반대 후 => (사용) 장려 법령 통과, 200백만 달러 (해당언어) 연구에 할당    

             
                 ↙↖                                                                            S                             V           

After (two centuries of opposing Native American languages), the U.S. government {in 1990} passed an act to encourage their use, and then allocated a small amount of money (about $2,000,000 per year) to Native American language studies.                    V2. 할당하다                                                            일년에
미국 원주민들 언어를 2세기 동안 반대한 후, 미국정부는 ...1990년에 법령을 통과했다...그들의 사용(원주민 언어)을 권장 하기 위해, 그리고 난 다음 ... 할당했다 ...적은 양의 돈을 (대략 200백만 달러를 일년에) ...미국 원주민 언어 연구에다가 말이다. 





        대략 20억                                                 
숫자(200만 달러)가 보여주듯,  근데..   아직 갈 길이 멀었음    

 V. 설명을 위해 삽화, (그림, 도해 따위)를 넣다 => 설명, 예시하다,                                                     
As that number illustrates, {though}, (governmental support for endangered languages) has a long way to go. 
                                          ↔                                      ↖↙ 
그 숫자가 보여주듯(증명하듯), 그러나, 사멸위기에 처한 언어에 대한 정부의 보조는 ... (아직) 갈길이 멀다.  


               
멸종위기 을 위한 돈 >>> dwarfs / exceeds >>> 사멸위기 언어" 를 위한 돈     

                                                                                                         n. 난쟁이
       (S1)   ↙↖                                      (+) →                                    V1. 왜소하게 보이게 만들다   ↙↖

(The money that the government spends / to preserve endangered species) dwarfs (its expenditure to preserve endangered languages), and (the money spent on one bird species alone (the Californian condor)) exceeds 
                                                   (S2)   ↖↙p.p: 쓰여진                                                                    V2
 = the money
(that spent on <all of our 100-plus endangered Native American languages combined>). 
    ↖↙ p.p: ~된                     →                               →                                     ←↙ p.p    
돈 ... 정부가 소비하는 ...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보존하기 위해....  (그 돈은) ... 왜소하게 만든다 ... 사멸위기에 처한 언어를 보존하기 위한 그것의(정부의) 지출금액을 말이다, 그리고 달랑 한 종(캘리포니아 콘도르)에 쓰이는 돈은 .. 초과 한다 ... 우리의 (모두 합쳐) 100개가 넘는 사멸위기에 처한 미국 원주민 언어들에 .. 쓰인 돈을 말이다.   


                                                                                                                       
(물론) 콘도르한테 쓰는거 찬성하며, 그 돈이 사멸 위기언어로 이전되는건 싫다.      


                                                                                                                       의미상 p.p 가능 
I'm all in favor of spending money for condors, and I wouldn't want to see money transferred from (condor programs) to (endangered language programs).                                                              
나는 전적으로 찬성한다 ... 콘도르를 위해 돈을 쓰는 걸 말이다, 그리고 나는 보기를 원하진 않는다 ... 돈이 이전 되는 걸 ... 콘도르 프로그램에서 ... 사멸 위기 언어 프로그램으로 말이다. 

                                                        
(대신), 우선순위에 있어 중대한 비 일관성 은 어떡할건데요?            


Instead, I mention this comparison / to illustrate a gross inconsistency in our priorities.
대신에, 나는 이러한 비교를 언급하는 거다 ... 보여주기 위해서 ..... 우리의 우선순위에 있어서의 중대한 (명백한) 비일관성을 말이다. 




멸종 위기의 새를 가치있게 여긴다면, 사멸위기의 언어에도 (같은) 가치를 부여하자. => 돈 좀 풀자!     

                                             (멸종위기의 새에게 부여하는) ~만큼의  가치                                    (↗)↘
If we value endangered birds, why don't we assign at least as much value to (endangered languages), whose importance would be easier for us humans to understand?
= 소멸위기 언어의 중요성                          →                           
만약 우리가 멸종위기의 새를 가치있게 여긴다면, 왜 우리는 부여하지 않냐 ... 적어도 ...(그 정도의 많은) 가치를 ... 사멸 위기의 언어에다가 말이다, 그것의 중요성은 우리 인간이라면 ... 이해 하기가 얼마나 쉬울텐데 말이다?


① 생물 종의 다양성 유지를 위해 더 많은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② 올바른 언어 사용을 위한 교육에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③ 조류 보존 예산을 줄여 토착 언어 보존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한다.
④ 사라져 가는 미국 원주민 언어의 보존을 위해 더 많은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
⑤ 미국 원주민들이 전통문화를 보존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야 한다.


사멸 위기에 처한 언어의 보존

미국 원주민들의 언어를 2세기 동안 반대한 후에 미국 정부는 1990년에 원주민 언어의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법령을 통과시켰으며, 그러고 나서는 미국 원주민 언어 연구에 작은 액수의 돈을 (연간 약 2백만 달러) 배정했다. 그렇지만 그 숫자가 증명하듯이 사멸 위험에 처한 언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정부가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보존하기 위해 지출하는 돈은 사멸 위기에 처한 언어를 보존하기 위한 지출 금액을 왜소해 보이게 만들며, 새 한 종에 (캘리포니아 콘도르) 대해서만 쓰인 돈이 전부 합해서 100개가 넘는 사멸 위기에 처한 미국 원주민 언어 모두에 쓰인 돈을 합한 것보다 많다. 나는 콘도르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전적으로 찬성한다. 그리고 콘도르 프로그램에서 사멸 위기 언어 프로그램으로 돈이 이전되는 것을 보고 싶지는 않다.대신에 나는 우리의 우선순위에 있어서 명백하게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 주기 위해 이와 같은 비교를 언급하는 것이다.우리가 멸종 위험에 처한 새들을 가치 있게 여긴다면, 왜 사멸 위기에 처한 언어에 대해 그 중요성을 우리 인간들이 이해하기 더 쉬운데도 불구하고 최소한 같은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 것인가?






효과 없는 실험 에서도 효과 있는 실험 만큼 많이 배울 수 있다.      
                                                                                                ___________
                                                                       ↙↖                                      ↙↖    = works 
We can learn nearly as much from (an experiment that doesn't work) as from (one that does). 
                                                                                       v. 효과가 있다      = experiment

우리는 배울 수 있습니다 .. 거의 같은 양을...  효과가 없는 실험으로부터 ... 효과가 있는 것 (대비해서) 말이죠... 
                                                                                                                               
                                                                                                                         




"실패 회피대상 아닌 장려되는 것" => 과학에만 적용되는 것 아닌 각 분야에 이익이 되는 교훈
Failure is not something to be avoided but something to be cultivated.       => 실패 (일단 거의 긍정적)
실패는 회피되어야 할 무언가가 아닙니다 .. (되려) 장려되어야 할 어떤 것이죠.           

                                          ↙↖                                              
That's a lesson from (science that benefits not only laboratory research but design, sport, engineering, art, and even daily life itself).
그것은 ... 교훈입니다 ...과학으로부터의 ... 오직 실험실 연구에만 이득이 되는 게 아니라... 디자인, 스포츠, 공학, 그리고 심지어 일상생활 그 자체 이익이 되는 ... 과학 으로부터의 교훈인 것이죠. 




                             
창의적인 방안들 실패(포용) => 최대 산출    

All creative avenues yield the maximum / when failures are embraced.
모든 창의적인 방안들은 최대를 산출합니다 .. 실패가 포용되었을때 말입니다. 


                                                                                   생각들 중: 대부분(n.)
A great graphic designer will generate lots of ideas, knowing / that most will be thrown away.
훌륭한 그래픽 디자이너는 많은 생각을 산출해 낼 겁니다, 알면서 ... 대부분이 버려질 거라는 걸. 


                                      a. 대부분의
A great dancer realizes / that most new moves will not succeed.
훌륭한 댄서는 압니다 ..대부분의 새로운 동작들이 성공하지 않을 거라는 걸. 


               ~에 있어서도 그렇다.(적용된다.)  
The same is true for any architect, electrical engineer, sculptor, marathoner, or microbiologist.
같은 것이 사실입니다 (적용)됩니다 ... 어떤 건축가, 전기 공학가, 조각가, 마라톤 선수, 혹은 생물학자에게도 말입니다.  





실패로부터 배울 준비를 하고 성공을 목표로 해라        
       ↙↖                                                                                        ↙(you're)  
(What all these suggest) is / that you should aim for success / while being prepared to learn from a series of failures.
이러한 모든 것이 시사하는 바는 ... 이렇습니다.. 당신은 성공을 목표해야 합니다... 준비가 되면서 말이죠 ... 일련의 실패로부터 배우려는. 





(쓰러져 넘어지는) 지점 까지 일단 신중히, 의도적으로 밀어 붙여라 !     
Moreover, you should carefully but deliberately press (your successful projects or accomplishments) to (the point where they break, stall, crash, or fail).                                                                                                    
  ↙
더욱이, 우리는 신중하게 그렇지만 의도적으로 당신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혹은 성과를 밀어붙여야 합니다 ... (바로 그) 지점까지 ... 그것들이 부서지고, 교착하고(진전이 없고), 추락하고 혹은 실패하는 (그) 정도까지 말입니다.  


① 일을 할 때 창의적인 생각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② 일의 성공을 도모할 때 실패를 감수하면서까지 계획해야 한다.
③ 다른 분야의 전문가와 일을 분담하여 처리하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④ 일의 성패를 결정하는 여러 변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갖춰야 한다.
⑤ 공동 작업을 할 때 구성원 간에 갈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우리는 제대로 효과가 있는 실험에서 얻는 것만큼이나 그렇지 못한 실험으로부터도 거의 같은 양의 것을 배울 수 있다. 실패는 회피되어야 할 어떤 것이 아니라 장려되어야 할 어떤 것이다. 그것은 실험실 연구뿐만 아니라 디자인, 스포츠, 공학, 예술, 그리고 심지어는 일상생활 자체에도 이익이 되는 과학에서 얻는 교훈이다. 모든 창의적인 방안들은 실패가 포용되었을 때에 최대치를 산출한다. 훌륭한 그래픽 디자이너는 대부분이 버려질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해 낸다. 훌륭한 무용수는 대부분의 새로운 동작들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 어떤 건축가, 전기 공학자, 조각가, 마라톤 선수, 혹은 미생물학자에게도 똑같은 것이 적용된다. 이 모든 것들이 시사하는 바는 우리가 일련의 실패로 부터 배울 준비를 하면서 성공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우리는 신중하게 그러나 의도적으로 우리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혹은 성과를, 그것들이 부서지고, 교착 상태에 빠지고, 추락하고, 혹은 실패하는 지점까지 밀어붙여야 한다.




                                                                                                                    ↙ 결국 이거 아니겠음?    
주목하셈:  개인 (차이에 비중) 두면 공통적 특징을 가리는 위험 있음  <<< 공통적 특징  

                                            (
S) ↙↖  p.p: ~된                          ↙↖                                                         V

It is worth noting / that (the weight attached to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children) risk obscuring (the common features of their development)                           * risk ~ing: ~에 대한 위험이 있다. 
                                                 ↖↙ = 아이들의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 아이들(아동)의 개별적인 차이의 중요성에 부여되는 무게는 가리는 위험이 있다는 걸 ... 그들 발달 과정상의 공통적인 특징들을 말입니다.  





인간의 학습 과정은 인간 전체에 걸쳐 비슷하다는 교육 이론이 있음     
                                                        
                   
         V                              S        ↖주/관   | ̄ ̄↘                                      (s')       ↙↖        
There is a body of educational theory [that argues / that '{in general terms}, (the process of learning among human beings) is similar across the human species / as a whole'.] 
                      v'               
일단의 교육 이론이 있습니다 ... 주장하는 ... '일반적인 용어로, 인간의 학습 과정은 비슷하다고 ...인간 전체에 걸쳐서 말입니다'. 



 
                                                                                                                                          
어떤 교육시스템도  아동 집단 요구  다룰 수 있는 일반원칙에 근거하지 않고 효과적 작동 X.    
                                                                          = it (어떤) 교육 시스템                        ↙↖          
No system of education can work effectively / unless it is based / on (general principles that ar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needs of a group of children).    ↘~ 하지 않는다면, 못한다면 
어떠한 교육 시스템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없습니다 .. 그것이 근거하지 못하는 이상 ... 일반적인 원칙들에 .. (그 원칙은) 다룰 수 있는 원칙이죠 ... 아동 집단의 요구를 말입니다. 





                              
효과적인 교수방법: 공통점부터 시작 >> 그것에 준하여   => 수정할 것 결정 (개별적 욕구 충족 관련)    
                                                            
                                   _______
                                    (S)                V                               ↙↖            |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must involve starting 'from [ (what children have / in common / as members of the human species) / to establish (general principles of teaching) and, {in the light of these}, 
                                                                                                             = general principles of teaching
to determine (what modifications of practice are necessary / to meet specific individual needs)'.]
   |_(↗)                                                                →                                         낚시 
효과적인 교수방법은 반드시 (~~ 다음으로부터 시작하는 )을 포함해야 합니다.  .... 인간의 구성원으로써 아이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 으로부터) ... 가르침의 일반원리를 확립하기 위해서 그리고, 이러한 (원칙)의 관점에서, 결정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어떠한 관행의 수정이 필요한지..특정한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


① 개별화된 맞춤식 교육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
② 교육 수요자들에게 더 많은 교육 선택권이 주어져야 한다.
③ 아동의 발달 과정상의 공통점에 교육의 토대를 두어야 한다.
④ 아동에게는 지식 습득보다는 인격 함양을 강조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⑤ 교육에 경제 원리를 도입하여 학생들의 자발적인 경쟁을 유도해야 한다.


아동의 개인적 차이의 중요성에 부여되는 무게로 인해 아동의 발달 과정상의 공통적인 특징이 가려질 위험이 있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일반적인 용어로 표현하면, 인간의 학습 과정은 인간 전체에 걸쳐 비슷하다'고 주장하는 일단의 교육 이론이 있다. 어떤 교육 제도도 아동 집단의 요구를 다룰 수 있는 일반적인 원칙에 근거하지 못한다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없다. 효과적인 교수 방법은 '가르침의 일반 언칙을 확립하고, 이 원칙의 관점에서 특정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관행의 수정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아동이 인간의 구성원으로서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


 

 


불편한 사람 이거 원 서러워서 살겠나   ㅠ.ㅠ         
  
              
                                      cf: 밑에는 해당  사항 없지만, A as well as B: (수일치) => A 기준   
                                                                (+) ~뿐만 아니라 ↙↖     목발        ↖        유모차             V1

A few decades ago, (people in wheelchairs, as well as many on crutches and with strollers,) couldn't use (pay telephones or revolving doors) or buy [V2] (articles of their choice in a supermarket), where many shelves were placed too high or too low / to be reached with ease.                                             ↘↗            S             V 
                                                                                                                                 
 
몇십년 전에, 휠체어를 탄 사람들, 목발을 짚거나 유모차에 의지하는 많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사용할 수 없었다 ... 공중전화 또는 회전문을 말이다... 혹은 살 수 없었다 .. 슈퍼마켓에서 고른 물품들을 말이다, (그곳에서: 수퍼 마켓에서) 선반들이 너무 높거나 낮게 위치되어 있었던 것이다 .... 쉽게 접근되어 지기에는 말이다. (너무 높거나 낮아 쉽게 닿지가 않음)    


Stairways needed to be replaced by ramps.
계단이 경사로에 의해 대체될 필요가 있었다.




오~~, 최근에 좀 변했군: 공중전화 낮은 곳에 설치, 경사로 지어지고, 조작 스위치도 낮아지고  ^^        

In recent years, this picture has changed greatly.
최근에, 이러한 그림(상황)은 많이 변화해 왔다. 


                S1                     V1                                         S2                V2          →                           ↙↖
Pay telephones have been placed in lower positions, many ramps have been built / to accommodate (those in wheelchairs), and (other important control areas such as light switches and elevator controls) have also been lowered.                                                       S3 ↖↙                                                                          V3
                                 
공중전화는 더 낮은 곳에 위치해 졌고, 많은 경사로가 지어졌다 ...휠체어를 탄 사람을 에게 (편의)를 도모 하려고 말이다 ...그리고 많은 중요한 제어 구역들 ... 전등스위치 그리고 엘리베이터 조작버튼과 같은 ... 것들이 또한 낮아졌다.





근데, 좀 아직 멀었어!  => 일단, 법만 준수 하고... 뭔가 하는? 눈가리고 아웅~?      

But much else needs to be done.
하지만 많은 다른 것들이 되어질 필요가 있다. 

  
                                                                    ~를 준수하다     ↙↖ (능): ~ 하는
For example, most ramps were simply added to comply with (laws governing the handicapped).
예를들어, 대부분의 경사로는 단순히 ...(이런 목적으로) 추가 되었다...준수하기 위해서 ....장애인들 (관할하는) 적용되는 법을 말이다.  


                            ↙↖ p.p                                    = 경사로의                                   V       (결과)
Both (the materials selected for these ramps) and (their angle of incline) frequently lead to (their icing up or becoming slippery / during the winter.                                                    (결과)로 이끌다   = 경사로의 
               a. 미끄러운
이러한 경사로를 위해 선택된 재료들과 그리고 그들의(경사로) 기울기 각도... 둘다는 자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만들어 냅니다 ...그들(경사로)의 얼어버림 혹은 미끄러워지는 것 ... 겨울 동안에 말입니다.


① 파손된 공공시설물 수리를 신속하게 해야 한다.
② 장애인에게 더 많은 취업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③ 장애인을 위한 시설물이 더 많이 개선되어야 한다.
④ 공공시설물에 대한 안전 검사를 더 자주 해야 한다.
⑤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 설치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소재: 장애인을 위한 시설물의 개선 필요성

몇 십 년 전에 목발을 짚거나 유모차에 의지하는 많은 사람뿐만 아니라 휠체어를 타는 사람도 공중전화나 회전문을 사용하거나 슈퍼마켓에서 고른 물품을 살 수 없었는데, 이곳에서 많은 선반이 쉽게 닿을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높거나 낮은 곳에 놓여 있었다.계단이 경사로로 대체되어야 했다. 최근 몇 년간 이러한 상황이 많이 변화해 왔다. 공중전화는 더 낮은 위치에 놓였고, 많은 경사로가 휠체어를 탄 사람의 편의를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전등 스위치와 엘리베이터 조작 버튼과 같은 다른 중요한 제어 구역 또한 낮아졌다. 그러나 그 외에도 해야 할 일들이 많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경사로가 단순히 장애인에게 적용되는 법을 준수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이들 경사로는 이들을 만들기 위해 택한 재료와 이들의 기울기 각도 둘 다로 인해 겨울에 흔히 얼어 버리거나 미끄럽게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학적으로 입증된' 장땡 ?      NO NO (plenty of damage)  => 과학의 토대는 의심인데  
 
                         p.p ↗↘    ↙↖                                   <=>              ↙↖                                                
There is (a widely held notion that does plenty of damage), the notion of 'scientifically proved.'
많은 피해를 끼치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개념이 있다, 즉, '과학적으로 입증된' 이라는 개념 말이다.      
                                                                                                                                  '오늘도 하나 낚아 보세'



           낚긴 뭘 낚어?                        
It is nearly an oxymoron.            현재,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좋다는 것) 이'       30년 후에도 '좋다는 보장은 못하지
그것은 거의 하나의 모순 어법이다.     과학적으로 증명 되었는데 뭔 말이 그렇게 많으셈?     이거 모순 맞니?   
                                                                   |___________________|
   

 

                                                                                        
                                                        
The very foundation of science is to keep the door open to doubt. 
과학의 진정한 토대는 ... 의심해 대해 문을 열어 두는 것이다.


의심을 하기 때문에 => 지식 증진의 준비가 된 것    
Precisely because we keep questioning everything, especially our own premises, we are always ready to improve our knowledge.
바로 우리가 의심을 하기 때문에... 모든 것에, 특히 우리 자신의 (주장의) 전제에 대해 말이다, 우리는 항상 우리의 지식을 증진할 준비가 되어있다.


좋은 과학자는 확신하지 않음.    
Therefore a good scientist is never 'certain.'
그러므로 좋은 과학자는 결코 '확신하지' 않는다. 



 (to keep the door open to doubt  keep questioning everything  /  never 'certain') 
   ↗                                                                                                                                                 
(확실성) => 결론 신뢰도 ↑ => 더 나은 증거, 참신한 주장있음 다른 관점 취할 준비 되었으므로     

 
                    O를 O.C하게 만드는 ↙↖                  o                 o.c                                          ↙↖    ↙↖
Lack of certainty is precisely (what makes conclusions more reliable / than (the conclusions of those who are certain), because the good scientist will be ready to shift to (a different point of view) / if (better evidence or novel arguments) emerge.                   s          v
              (s')     v'                                             
확실성의 부족이 곧 ... (바로) 결론을 더욱 신뢰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확신하는 사람들의 결론보다 말이다, 왜냐면 훌륭한 과학자는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다른 관점으로 이동할 준비 말이다 ... 만약 더 나은 증거 혹은 참신한 주장이 나오게 되면 말이다.  


                                                            
그렇기에, 신뢰도를 중시한다면, (되려) 확실성은 (사실은) 해로운 거다      
                                                            ↙↖                                                                      n. 신뢰도
Therefore certainty is not only (something of no use) but is also in fact damaging, if we value reliability.
그러므로 확실성은 쓸모없는 것 뿐만 아니라 .. 또한 사실은 해로운 것입니다, 우리가 신뢰도를 중시한다면 말입니다.




                                                                                                               reliability 
                                                                                                                                                                                                                

           
                                        certainty         


① 과학자는 심리적 보상을 추구해야 한다.

② 과학의 확실성에 대한 맹신을 지양해야 한다.    cf. 지양: (추구) 지 말아야 하는 것지향: 해야하는 것      
③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늘려야 한다.
④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만 증거로 사용해야 한다.
⑤ 충분한 실험을 통해 이론의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많은 피해를 끼치고 있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개념, 즉 '과학적으로 입증된' 이라는 개념이 있다. 그것은 거의 하나의 모순 어법이다. 과학의 진정한 토대는 의심에 문을 열어 두는 것이다. 바로 우리가 모든 것, 특히 우리 자신의 (주장의) 전제에 계속 의심을 품기 때문에, 우리는 늘 지식을 증진할 태세를 갖춘다. 그러므로 훌륭한 과학자는 결코 '확신하지'않는다. 훌륭한 과학자는 더 나은 증거나 참신한 주장이 나오면 다른 관점으로 바뀔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신이 없다는 것이 곧, 결론을 확신하는 사람들의 결론보다 더 신뢰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신뢰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확실성은 쓸모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사실 해로운 것이다.


 

ex) 위기가 강요 할때만 변화 한다면 => 그것은 즉, 위기의 감정 만들 필요가 있음을 암시      
                                                                                                   to (change)                   
We often hear / that people change only when a crisis compels them to, which implies / that we need to create (a sense of fear or anxiety or misfortune).                               ↘↗= 내용
             ↖↙
우리는 종종 듣는다 ..... 사람들이 변한다고 ...위기가 그들로 하여금 (변화하도록) 할때만 말이다, 그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우리는 만들어 낼 필요가 있다는 걸... 두려움 혹은 걱정 혹은 불행에 대한 느낌을 말이다. 



두 교수: 변화가 힘든이유  성공해 왔던 습관을 바꾸려 하지 X, => 위협 부재시 계속하던 거 함  
                   S                                               (+) → 하면서                                     V           
Two professors at Harvard Business School, {writing about organizational change}, say / that change is hard / because people are reluctant to alter (habits that have been successful in the past)
                    
 ~ 하기를 꺼리는                  ↖↙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두 교수는, 조직의 변화에 대해 적으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변화는 어렵습니다... 왜냐면 사람들이 바꾸려 하지 않기 때문이죠 ... 과거에 성공적이었던 습관들을 말입니다. 

                                             
"In the absence of a dire threat, employees will keep doing (what they've always done). "
"무서운 위협의 부재시에, 직원들은 계속해서 합니다 .. 그들이 항상 해온 걸 말입니다."



위기의 중요성 강조: 조직 무너지기 직전 (위기)임 (뭐하셈?) => 살고자 하면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됨   
                                                                                                                                                     that 이하
                                                                                                                                             ~에게   [~를]

As a result, the profess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risis: "Turnaround leaders must convince people [that the organization is truly on its deathbed] - or, at the very least, [that radical changes are required / if the organization is to survive and thrive]. " 
결과적으로, 그 교수들은 위기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강조합니다: "기업회생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납득시켜야 합니다...조직이 정말로 무너지기 직전이라고 말이죠 - 혹은(다시 말하면), 적어도,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 된다고 말이죠... 만약 그 조직이 생존하고 번영하고자 한다면 말이죠." 



필요하면, 재앙에 직면해 있고 즉각행동 해야 한다는 위기상황을 만들 필요 있음.   
                                                                                                        ↙(that)
In other words, if necessary, we need to create a crisis to convince people / they're facing a disaster and have no choice but to move.                                                                                              v1                         v2
다시 말해서, 필요하다면, 우리는 위기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납득시키기 위해서 .. 그들이 재앙에 직면해 있고 ...별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말입니다.... 행동하는 것 말고는 (행동하지 않을 수 없다)


① 지도자는 신뢰를 통해 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② 기업이 해외에서 성공하려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③ 지도자는 변화를 위해 필요하다면 위기의식을 조성해야 한다.
④ 기업은 직원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⑤ 기업은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하다.


소재: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위기 경영

우리는 흔히 사람들이 어떤 위기 상황이 그들에게 변화하도록 강요할 때만 변화한다는 말을 듣는데, 그 말은 우리가 두려움이나 걱정 또는 불행에 대한 느낌을 만들어 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의 변화에 대해서 집필하면서, Harvard 경영 대학원의 두 교수는 사람들이 과거에 성공적이었던 습관을 바꾸기를 꺼리기 때문에 변화가 어렵다고 말한다. “무서운 위협이 부재할 경우, 직원들은 그들이 늘 해오던 것을 계속하려 합니다. ” 결과적으로, 그 교수들은 위기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기업 회생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그 조직이 정말로 무너지기 직전이라는 점, 다시 말하자면, 적어도, 그 조직이 생존하여 번영하고자 한다면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납득시켜야 합니다. ” 다시 말해서, 필요하다면, 우리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재앙에 직면해 있어서 행동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납득시키기 위해 위기 상황을 만들어 낼 필요가 있다.


 

자연은 진화를 통해 문제의 해결책을 내고, 이후에 개선됨.    

p.~를 통해서                 ~를 찾아내다, 생각해내다               ↗↘                        = ~ solutions           p. ~에 걸쳐
Through evolution, nature came up with effective solutions to its challenges, and they were improved / over millions of years.                                                                      n. 문제, 도전                  
진화를 통해서, 자연은 찾아냈다 .. 효과적인 해결책을 .. 그것 (부딪힌) 문제에 대해, 그리고 그것들(해결책들)은 개선되었다 .. 수백만 년에 걸쳐. 



자연은 시행착오의 큰 실험실 => 진화를 통해 그 결과가 이행,유지 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발전   

ad. 효과적으로, 사실상                  ↙↖        시행 착오의                           
Nature is effectively a giant laboratory where trial-and-error experiments are conducted, and through evolution / the results are implemented, self-maintained, and continually evolving to address the changing challenges.                 s       v                 ←                     ←                                   →                  
자연은 사실상 하나의 거대한 실험실이다 .. (어떤 곳?이냐면.) 시행 착오의 실험이 행해지는, 그리고 진화를 통해서 그 결과가 실행 되며, 스스로-유지되며, 그리고 지속적으로 발전합니다 ...변화하는 문제를 다루게 되는거죠 (해결하도록) 



실험은 많은 분야를 포함 => 많은 발명품들을 낳았다.         
                                                                                                 = ~ experiments                         
These experiments involve all field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y led to an enormous pool of "inventions."
이러한 실험들은 포함합니다 .. 과학 그리고 공학의 모든 분야를, 그리고 그들은 이끌어 냈습니다 ...거대한 "발명품" 집합을.                                                                                         lead to N: S가 N으로 이끌다. (N)의 결과가 되다. 



진화과정은 범위가 ~ "작은(바이러스, 박테리아) 규모에서 큰 규모(공룡)까지" ~ 이른다.      
                         S          V                                       A                                                    to              B
The evolution process ranged {in scale} from nano and micro (e.g., viruses and bacteria) to macro and mega sizes (e.g., our life scale and the prehistoric giant animals like the dinosaurs). 
                                                                                       ↖↙
진화 과정은 (범위가) 이른다 ... 규모면에서 ...나노와 마이크로(예,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에서 ... 매크로 그리고 메가크기(예, 우리 실물 크기 그리고 선사 시대 거대 동물들... 공룡과 같은)  




거대 육서생물 멸종에 대해 불확실성 있지만, (자연은) 그 진화 실험에선 실패한 거라 할 수 있따.    

                                                  ↙↖                                                           a. 육서생물의
Although there is still (uncertainty about the cause of the extinction of the giant terrestrial creatures), it can be argued / that (the evolution experiments with the terrestrial mega scale) failed
                                                          ↖↙                                    (s)     v
비록 .. 여전히 불확실성이 있지만 .. 거대 육서동물들의 멸종 이유에 대해 말이다, 주장될 수 있습니다 ...육서생물의 거대한 크기에 있어 진화실험들은 실패했다고 말이죠. 


                                                                                                                    
현재 잘 살고있는 고래와는 대조적으로, 멸종한 거대 생물(공룡따위)는 역사(발굴, 박물관)에서만 발견  
         ~와 반대로(대조적으로)                              ↙                   ↖
Namely, as opposed to the large marine creatures (e.g., whales) that survived to live in our time, the extinct mega creatures can now be found / only at excavation sites and natural history museums.
다시 말해, 큰 해양 생명체(예, 고래) 우리시대까지 생존했던....와는 반대로(대조적으로), 멸종한 그 거대 생물체들은 지금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오직 발굴현장 그리고 자연사 박물관에서만 말입니다.



① Flexibility allows species to avoid extinction.                        유연성은 종으로 하여금 멸종을 피하게 한다.
② Evolution is the foundation of modern biology.                       진화는 현대 생물학의 근간이다.
③ Evolution is the result of natural experimentation.     진화는 자연 실험의 결과이다.
④ Which species is fit for survival is often predetermined.          어떤 종이 생존에 적합한지는 종종 (미리) 결정된다.
⑤ Valid results should be obtained through multiple tests.         유효한 결과가 획득 되어야 한다 ... 다양한 실험을 통해.


소재: 시행착오의 실험실로서의 자연

진화를 통해서 자연은 그것이 부딪힌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아냈고, 그 해결책은 수백만 년에 걸쳐서 개선되었다. 사실상 자연은 시행착오의 실험이 행해지는 하나의 거대한 실험실이며, 진화를 통해서 그 결과가 실행되고, 스스로 유지되고, 계속 발전하면서 변화하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 실험은 과학과 공학의 모든 분야를 포함하고, 거대한 ‘발명품’ 집합을 이끌어 냈다. 진화의 과정은 규모 면에서 나노와 마이크로 크기(예를 들어,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서 매크로와 메가 크기(예를 들어, 우리 실물 크기와 공룡과 같은 선사 시대의 거대한 동물)에 이르렀다. 비록 여전히 거대한 육서 생물의 멸종 이유에 대해 불명확한 부분이 있지만 육서 생물의 거대한 크기에 대한 진화의 실험은 실패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살아남아서 우리 시대에 살고 있는 커다란 해양 생물체(예를 들어, 고래)와는 대조적으로, 멸종한 그 거대한 생물체는 이제 발굴 현장과 자연사 박물관에서만 발견될 수 있다.


 



 

J머시기:  => (측정능력 + 판단능력)을 결합하는 유일한 감각기관     
                                                                                                              ↙↖                           ↙↖  
In his book, Joachim-Ernst Berendt points out / that the ear is [the only sense that fuses (an ability to measure) with (an ability to judge)]                                                                                                    A: 측정능력
                     ↖↙  B: 판단능력                                                  * fuse A with B: A를 B와 결합시키다
그의 책에서, Joachim-Ernst Berendt은 지적한다 ...귀는 유일한 감각기간 ...인데...측정능력을 판단능력과 결합하는 유일한 감각기관이라고 말이다.



색깔은 구별 정도이나, 소리는 "정확한 숫자"까지 매길 수 있다 => 소리의 정확성  
We can discern different colours, but we can give a precise number to different sounds.
우리는 다른 색깔들을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정확한 숫자를 줄 수 있다 .. 다른 소리들에는 말이다.  



눈은 소리(귀)를 못따라간다.      = 숫자로 딱 떨어지게 매길 수 있는 정확성
Our eyes do not let us perceive with this kind of precision.
우리의 눈은 우리로하여금 지각하도록 하지 않는다 ....이러한 종류의 정확성으로(는) 말이다. 


                                                                                          이소리 머야? C  이소리 머야? F-sharp.  
음악성이 없는 사람도 옥타브 정도는 구별 =>  (가르쳐지면) 어떤 소리 인지 (구체적으로)를 곧잘 한다.  
 a. 음악적 소질이 없는, 음악성이 없는                                             ↙ (he or she is)                   다시 말해...
An unmusical person can recognise an octave and, {perhaps once instructed}, a quality of tone, {that is} a C or an F-sharp.                                        인지 1               일단 ~ 하면      되면        인지 2      ↘    <=>    ↗
음악에 소질이 없는 사람도 한 옥타브를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아마도 일단 (그 사람이) 가르쳐지면, 음정의특성, 다시 말해서 도 혹은 반음 높은 파를 말이다 (인지할 수 있다)   



Berendt : 시각적 착각은 있어도 청각적 착각은 거의 없다 => 청각의 정확도     
                                                      a. 청각적인              ↗→                                                    ↙↖
Berendt points out / that there are few 'acoustical illusions' - (something sounding like (something that {in fact} it is not) - while there are many optical illusions.  철수바보! (진짜) =>철수 바보! (듣는 것)        
                                         a. 시각적인              철수바보! (진짜) =철수 천재! (듣는 것) : <= 이렇게 안들린다
Berendt는 지적합니다 ... '청각적인 착각'은 거의 없다고 말이다 - (사실은, 실제론) 그것이 아닌 어떤 것<= 짝퉁이 진짜 처럼> 들리는 어떤 것 ...(이런 건 거의 없다고 말이죠)  - 반면에 많은 시각적인 착각은 있습니다. 



귀는 거짓말 안한다 => 귀는 정확하다.        
The ears do not lie.
귀는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청각은 우리를 사물의 근원적 질서와 연결시켜 줍니다.                                                           
(The sense of hearing) gives us a remarkable connection with (the invisible, underlying order of things).
청각은 우리에게 줍니다 ... 놀랄만한 연결을 ...(연결을 시켜줍니다) ... 보이지 않고, 내재하는 사물의 근원적 질서와 말입니다.



귀를 통해 우리는 주변 모든 것의 근저에 있는 진동에 접근  
                                                                   ↗↘      v. 근저에 있다. 기저를 이루다
Through our ears / we gain access to vibration, which underlies everything / around us.
귀를 통해서 우리는 접근합니다... 진동에, (그건) 바로... 우리 주변의 모든 것에 깔려있는 거죠.



다른 사람의 소리톤, 음향 들어보면 .. 그 사람에 대한 엄청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S)          V                                                                   ①에 관한
(The sense of tone and music / in another's voice) gives us / an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 about that person, / about their stance toward life, / about their intentions.
                   ②에 관한                                 ③에 관한
다른이의 목소리에서의 어조와 (음악적) 음향의 감지는 우리에게 줍니다 ...그 사람에 대한 엄청난 정보를 말입니다, 그 사람의 삶에 대한 태도, 그들의 의향에 대해 말입니다. 


① Vision tends to dominate and override all other senses.
② After birth the sense of hearing does not develop much.
③ The ear perceives things so accurately that it is most reliable.
④ Our perceptions are subject to distortion based on our beliefs.
⑤ Music, once created, is open to the interpretations of the performers.


소재: 귀가 인식하는 정보의 정확성

Joachim-Ernst Berendt는 자신의 책에서 귀는 측정 능력을 판단 능력과 결합시키는 유일한 감각 기관임을 지적하고 있다. 서로 다른 색깔은 우리가 분간할 수 있지만 여러 다른 소리에는 정확한 ‘숫자’를 부여할 수 있다. 우리 눈은 우리가 이런 종류의 정확성을 가지고 지각하도록 해 주지 는 않는다. 음악에 소질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 옥타브를 인지할 수 있고, 아마도 일단 배우게 되면 음정의 특성, 다시 말해서 도 혹은 반음 높은 파를 인지할 수 있다. Berendt는 시각적 착각은 많지만 ‘청각적 착각’, 즉 어떤 것이 사실은 그것이 아닌 어떤 것처럼 들리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것을 지적한다. 귀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청각은 보이지 않고 내재하는 사물의 근원적 질서와 우리를 놀라울 정도로 연결시켜 준다. 귀를 통해서 우리는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것의 근저에 있는 진동에 접근하게 된다. 상대방의 음성의 어조와 음악적 음향을 감지하는 것은 그 사람에 대해, 그 사람의 삶에 대한 태도에 대해, 그 사람의 의향에 대해 엄청난 양의 정보를 우리에게 준다.






     야.... 요새 오일시장(가격) 좀 어떠냐? 
     쩔어(최악임)..사우디 압둘라 땜시(기름통 막았음) ...힘들어...     엄마 ~ 오늘 짚신사러 가면서 찜닭 사주세염 ^^
     
시장: (공급,
수요=>평형가격) 일종의 메커니즘의 의미 전에 =>
마주보고 상품교환하는 물리적인 장소였음. 
 
                                                        
                     s      v                         ↙↖                                               ↙  ↖              s'       v'           
Before "the market" took on (the sense of an impersonal, global mechanism by which supply meets demand at some equilibrium price), the market was (a physical place where buyers and sellers meet face to face / to exchange goods).                           S       V                          ↖↙ 
"시장"이 의미를 띠기 전에...(어떤 의미냐면)... 비개인적이고, 전체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의 의미를 ... (바로 ...그것 메커니즘 상, )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는...어떤 평형가격에 (=), 시장은 물리적인 장소였다 ..(구체적으로 어떤 곳이냐면..) 소비자와 판매자가 얼굴을 마주보고 만나는 장소 말이다... 상품을 교환하기 위해서.


그렇지, 장을봐야 먹고 살지.     

Shopping is, {at its best}, both an end and a means.
쇼핑은, 가장 이상적으로, 목적이며 그리고 수단이다. 

                                ↗→                            ↙↖ p.p(←): ~되는
It is a means for people  to acquire [the goods needed(or wanted) / for living].
                                                                      ↖(which are)
그것은 수단이다.. 사람들이 ..상품을 획득할 수 있는 .. 필요되어지거나(원해지는) 상품을 말이다... 생활을 위해. 

                                                                                                                      이걸 제일 잘하니깐 ...
혼자 다 해결하는 사회 아니면 => 전문화, 거래가 필요. (ex. 돈 벌려면 넌 걍~ 신발만 만들어 
                                         ↙↖                                                                                     ↙↖    
Unless we were in (a society where people produced everything for themselves), (some form of specialization and trading) is necessary.
우리가 어떤 사회속에 있지 않았던 이상 ... (그 어떤 사회는) 사람들이 자신들을 위해 모든 것을 생산했던 사회 말이다, 어떤 형태의 전문화와 거래는 필수적이다.  


다른 건 사먹어! (상품교환   
Shopping in some form is thus a necessary activity.
어떤 형태의 장보기는 그러므로 필수적인 활동이다.






  근데, 우리는 그것 이상을 논할 수 있음   =>  그게 뭔데?            
We can say more than that, however.
우리는 그것 이상을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상품 교환을 위해 시장에서 만나기 => 자체로 가치있는 인간미 있는(인간적인) 활동일 수 있음.      
                                                                 (S)      V                                             ↙↖
(Meeting in the marketplace / to exchange goods) can be (a healthy and humane activity that is valuable / for its own sake).
상품을 교환하기 위해 시장에서 만나는 것은 건강하고 인간미 있는 활동일 수 있다.....(그 활동은) 그 자체로 가치 있는 활동 말이다. 

                                                                                               
필요충족 하는 단순 수단만이 아닌 => 사회적인 활동(작용)도 되는 것이지.     

That is, shopping is not just a means / toward meeting needs.
즉, 쇼핑은 단순 수단만은 아니다 ... 필요를 충족하는 것에 대한 

                                          ↗↘
Instead, it is a social activity, whereby people meet and interact.
대신에, 그것은 사회적인 활동이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만나고 상호 작용한다.


Shopping can help meet the need for human sociability.
장보기는 인간의 사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equilibrium price: 평형 가격


① Today's market is far more impersonal than it used to be.   
    오늘날의 시장은 훨씬 더 비개인적인다 그것이 전에 그랬던 것 보다

② Being economically active is most crucial for human survival.
    경제적으로 활동적인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인간 생존을 위해.

③ Excessive shopping can lead to a loss of time for other activities. 
    과도한 쇼핑은 이렇게 될 수 있다 ...다른 활동들에 대한 시간을 잃어버리는 꼴이 

④ Shopping is a social interaction as well as the act of purchasing things. 
   쇼핑은 사회적인 작용이다 ... 물건을 구매하는 활동 뿐만 아니라.

⑤ The virtues of division of labor and specialization should be recognized. 
    노동 전문화 분화의 장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소재: 장보기의 사회적 기능

'시장'이 어떤 평형 가격에서 공급이 수요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비개인적인, 즉 전체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의 의미를 띠기 전에, 시장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상품을 교환하기 위해 얼굴을 마주 대하고 만나는 물리적인 장소였다. 가장 이상적으로, 장보기는 목적이기도 하고 수단이기도 하다. 그것은 사람들이 생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혹은 원하는) 물건을 취득할 수 있는 수단이다. 우리가 사람들이 자기 힘으로 모든 것을 생산하는 사회에 살았을 때를 제외하고는, 어떤 형태의 전문화와 거래가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어떤 형태의 장보기는 필수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이상을 말할 수 있다. 상품을 교환하기 위해 시장에서 만나는 것은 그 자체로 가치 있는 건강하고 인간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다. 즉, 장보기는 단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만은 아니다. 대신에 그것은 사교적 활동으로 이를 통해 사람들을 만나서 상호 작용을 한다. 장보기는 인간의 사교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민주주의를 (단순) 다수결의 원칙으로 정의하기에는 유용하지 X    
Democracy today is complex.
오늘날의 민주주의는 복잡하다.


~ 하는 것                ~로써                ↙↖                                    (부정) => 너무 단순
(Defining democracy as a majority rule that benefits all people) is too simplistic to be useful.
                                      다수결의 원칙
정의하는 것 .. 민주주의를 .. 다수결의 원칙으로 .. 모든 사람에게이익이 되는 .. 너무 단순하다 .....유용하기에는. (너무 단순해서 유용하지 않다) 





오히려, 권력이 최소로 유지되도록 (제도, 절차)를 통해 권력을 분산 하는 체제 라 잘 이해됨    
                                                       ~로써             ↙↖                  
Rather, democracy is best understood / as (a system that spreads power through / its institutions and procedures / so that the domination of one person, group, or interest can be kept / to a minimum). 
    → (~ 할 수 있도록)      s ↖↙                                                 v
오히려, 민주주의는 가장 잘 이해 된다 .. 체제로써 ... 권력을 분산하는 ... 그것의 제도와 절차를 통해서 말이다...그래서 한개인, 단체, 혹은 이해 관계자의 지배가 최소로 유지될 수 있게 말이다.



권력, 지배는 본질적으로 정치, 경제, 사회적일 수 있고 소멸될 수 없음.        
Domination, as unethical form of power, can be political, economic, or social / in nature.
권력의 비윤리적인 형태인 지배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일 수 있다.. 본질적으로.


Power, or domination, cannot be extinguished.
권력, (혹은) 즉, 지배는 소멸 될 수 없다. 


그래서, 권력은 체제로 분산 되어야 함.       
                                                                                             = power
Therefore, power must be spread throughout the system / so that it is not embodied / in any one individual or institution.                                                                                
그러므로, 권력은 체제로 분산이 되어야 한다 .. 그래서 그것(권력)이 구현되지 않도록 말이다 ... 어떤 한 개인 혹은 기관안에.






민주주의 체제는 사람들이 자발적, 전체적으로 정치에 참여토록 하는 유인동기가 있음             
A democratic system includes incentives / so that people will voluntarily and collectively participate / in politics / in a thoughtful and deliberative manner.
민주주의 체제는 포함한다 .. 유인요소를 ...그래서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것이다 ..사려깊고 그리고 신중하게 말이다. 


정치 체제와 제도 형성하는 데 모두가 참여하므로 => 다른 사람에게 권력행사 못함.   
                                                                                                                                           v. 부과, 강요하다
Because everyone participates / in shaping the political regime and its institutions, / no one is able to overly impose his or her power on another.
모든 사람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 정치 체제 그리고 그것의 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아무도 자신의 권력을 다른이에게 행사할 수 없다. 


개별적으로는 신뢰받지 X,  전체적으로는 모든이에게 이득이 되는, 규칙, 제도 가치를 만들 수 있음 
                                                                     ↙↖                           (s)  
This definition of democracy admits / that (people individually or in groups) are not to be trusted; however, collectively, people can create (rules, institutions, and values) that benefit everyone.  
           s              v                                                       ↖↙
민주주의의 이러한 정의는 인정한다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혹은 집단별로는....신뢰받을 수 없다는 걸 말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사람들은 만들 수 있습니다 .. 규칙, 제도, 그리고 모든이에게 이득이 되는 가치를 말입니다.  



① 민주주의는 개인의 합리적 판단 위에서 제대로 작동한다.
②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가 없이는 민주주의가 발전하기 힘들다.
③ 민주주의는 권력 분산과 구성원의 정치 참여로 전체 이익을 실현한다.
④ 다수결의 원칙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⑤ 정치는 여러 이해 집단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사회적 과정이다.


소재: 민주주의 체제에서의 권력 분산과 시민의 정치 참여


오늘날의 민주주의는 복잡하다.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는 다수결의 원칙으로 민주주의를 정의하는 것은 너무 단순해서 유용하지 않다. 오히려, 민주주의는 한 개인, 집단, 혹은 이해관계자의 지배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도와 절차를 통해 권력을 분산하는 체제로서 가장 잘 이해된다. 권력의 비윤리적인 형태인 지배는 본질적으로 정치적이거나 경제적이거나 사회적일 수 있다. 권력, 즉 지배는 소멸될 수 없다. 따라서, 권력은 그 어떤 하나의 개인 혹은 기관 안에 구현되지 않도록 체제 전체로 분산되어야 한다. 민주주의 체제는 사람들이 사람들이 사려 깊고 신중한 자세로 정치에 자발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참여하도록 유인 요소를 갖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정치 체제와 그것의 제도를 형성하는 데 참여하기 때문에 아무도 자신의 권력을 다른 사람에게 과도하게 행사할 수 없다. 민주주의의 이런 정의는 사람들이 개인별로나 집단별로는 신뢰받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사람은 모든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규칙, 제도,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설 연휴 끝날때 까지 쉽니다   ~! 

미리 ~ 즐건 명절 보내세요 ^^




애들 독서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는 걸루다~

~한다면, ~하는 동안,                       '~ 하는 편이 낫다'   
As long as children are reading, they might as well read something worth remembering.
아이들이 독서를 한다치면,(한다면), 그들은 뭔가 기억할 만한 가치 있는 것을 읽는 편이 낫다.  



한 엄마가 큰아들 학교서 책 읽혀준거 무쟈게 감사, 그 뒤로 하도 안 읽어서   

                                                                                                            되었다 ←   → ~ 하도록                ↙↖
The other day a mother thanked the good Lord / that her oldest son had been forced / to read (every single word of Silas Marner and Lorna Doone) / when he was in school / under the strict guidance of Ms. Fidditch, / because he hasn't read a single book since.                                     ~ 하에서                    
일전에 한 어머니가 감사를 드렸다 ... 그녀(자신)의 큰아들이 강요되어서 .. 매 각 단어를 읽도록 .. Silas Marner and Lorna Doone의 (옛날 소설, 고전) .... 그(아들)가 학교에에 있을때 ...Ms. Fidditch의 엄격한 지도하에서. 왜냐면 그는 그 이후로는 책 한권도 읽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명작은 어려워서 애들이 안 좋아할 거라 생각.

We think / that {because great books are hard to read} children will not like them.
우리는 생각한다 ... 명작이 읽기 어렵기 때문에 아이들이 그것(명작들)들 좋아하지 않을 거라고.



좋든 싫든 진정한 독서 배울 필요가 있음.    

Whether they like them or not, they need to learn (what real reading is).
그들이 그것들을 좋아하건 아니건, 그들은 배울 필요가 있다 .. 무엇이 진짜 독서인지. 


                               | ̄ ̄ ̄ ̄ ̄ ̄ ̄ ̄ ̄ ̄  ⊃   ̄ ̄ ̄ ̄ ̄ ̄ ̄ ̄ ̄|
그렇지 않으면, 문화적 유산 에 노출이 안됨.  학교에서 안 시키면, (고전) 안 읽혀지므로.  

                                                                                           왜냐면 sv~.           
Otherwise, they will not be exposed / to their cultural heritage, / for {unless the classics are read in school}, chances are they won't be read at all.                                                        
        s     v  ↖(that)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노출 되지 않을 거다 .. 그들의 문화 유산에, 왜냐면 ... 고전들이 학교에서 읽혀지지 않는 이상, (아마) 이럴 거다 .. 그것(고전)들은 전혀 읽혀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고전 읽는 사람 얼마 없음.  

Witness / how few people read Silas Marner and Lorna Doone today.
주목하라 .. 얼마나 소수의 사람이 Silas Marner and Lorna Doone 를 오늘날 읽는지 말이다. 



(고전) 독서도 때가 있는건데, 나중에 무지하게 살아가게 될거야.    

                                                                                                  * be condemned to death: 사형 선고를 받다
        ↙↖                                      (S)                                   V1                               (부정)~ 로 운명 지어지다.

(Those who have missed this experience) will probably never know (what it is like) and will thus be condemned to (journey / through life / never fully literate).                                                               V2  
                     →               
이러한 경험을 놓친 사람들은 ... 아마 절대 모를 거다 ... 그것이 무엇고 같은지 그리고 그러므로 평생을 완전히 교양을 갖추지 않은 채 삶의 여정에 처해지게 될 것이다. (그닥 교양을 갖추지 않고 살아갈 것이다)   
                                                                                                                                              * heritage 유산


① 학교에서는 아이들에게  고전 작품을 읽혀야 한다.
② 문학적 교양이 부족한 성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③ 학생의 수준에 맞는 읽기 자료가 선정되어야 한다.
④ 전통 문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⑤ 강압적 독서 교육은 책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소재: 학교에서의 고전 읽기의 필요성

아이들이 독서를 하고 있다면, 그들은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읽는 편이 낫다. 일전에 어떤 어머니 한 분이 자신의 큰 아들이 학교에 다닐 때 Fiddithch 선생님의 엄격한 지도하에 'Silas Marner'와 'Lorna Doone'의 단어 하나하나를 다 읽어야만 했던 것에 감사를 드렸는데 그 이후로는 그가 단 한권의 책도 읽는 적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명작이 읽기에 어렵기 때문에 아이들이 그것들을 좋아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그 책들을 좋아하건 안 하건, 그들은 진정한 독서가 무엇인지를 배울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자신들의 문화적 유산에 접하게 되지 않을 것인데 고전이 학교에서 읽혀지지 않으면 아마도 그것들은 결코 읽혀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Silas Marner'와 'Lorna Doone'를 읽는 사람이 얼마나 적은지에 주목하라. 이 경험을 놓친 사람들은 아마 그것이 어떤 것인지를 절대로 알 수 없을 것이고 따라서 평생을 충분한 교양을 갖추지 않은 채 보내게 될 것이다.




예시는 추상적 강의 자료 이해하는데 유용, 그리고 실제적인 적용 도 그렇다 (강의내용 이해에 유용) 

           beV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    S (∽) : VS도치   
Illustrations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abstract lecture material, and so are practical applications.
                                                                                                = useful for understanding~~~ material. 
예시는 유용하다 ... 추상적인 강의 자료를 이해하는데 있어, 그리고 실제적인(실생활) 적용도 그렇다(유용하다). 


                            s                                  v    
Think of how principles in a lecture can be applied to real-life situations.
생각해 보라 ... 어떻게 .... 강의의 이론들이 적용될 수 있는지 .. 실제 상황들에 말이다. 



학생들 가끔 실제 적용이 안될거라 자신을 낙담시킴  

                                                                                | ̄↘
Students sometimes discourage themselves / by asserting / that they will never have any practical use for (the academic material they accumulate). 
                       ↖↙
학생들은 때때로 그들 자신을 낙담시킨다(의욕 저하시킨다) 단언함으로써 ... 그들이 결코 어떠한 실제적 사용을 갖지 않을 거라고(하지 않을 거라고) ... 그들이 축적한 학술 자료에 대해 말이다.




학습에서 중요한 건 어떻게 이론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상상해 보기      

An important aspect of learning is to imagine / how principles on a chalkboard can be applied / at a workshop.
학습의 한가지 중요한 측면은 ... 상상해 보는 거다 .. 어떻게 칠판위의 이론이 .. 적용될 수있는지 .. 작업현장에서 말이다. 



예: 뭔가 실험실에서(학습상) 관찰하는 것이 현실과 동 떨어졌다고 생각하겠지만.   

                    [S : ~의 효과를 관찰하는 것" ]  
For example, [watching (the effects of various reinforcement schedules on animals in a Skinner box) 
                            ↙↖ p.p                                                 ↙↖
(an experimental box used in labs / to monitor (the frequency of pigeons' key-pecking or rats' lever-pressing responses to food or liquid reinforcement) ] may seem a million miles away / from the real world. 
                →                                                     V
예를들어, 스키너 상자 (실험용 상자 ..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 빈도를 관찰하려고 ....비둘기의 키 쪼기 혹은 주의 레버 누르기 반응 ... 음식 혹은 음료 강화물에 대한 반응) 안의 동물에 대한 다양한 강화 스케줄의 효과를 관찰하는 것은 ... 보일지도 모른다 ... 현실 세계과 백만 마일 떨어져 있는 것으로 (현실과 별 관련 없는 것으로) 



하지만, 다음과 같이 실제 적용이 되는 걸 알게 되면, 이론을 더 잘 기억하게 될 것이다.         
  
                                                   s   ↙↖                                       v1                                               v2     
If you can, {however}, see how (some of these schedules) can be applied to child-rearing practices or help explain gambling behaviours / then you are more likely to remember the principles.  
만약 당신이, 하지만, 알게 되면 .. 어떻게 ...이런 스케줄의 일부가 적용이 될 수 있는지 ... 자녀양육의 실제에 있어서 ... 혹은 도박 행위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 그러면 당신은 그 원리들을 더 잘 기억할 거다.


① 심리학적 이론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② 교사는 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강의 자료를 제작해야 한다.
③ 교사는 수업 시 학생의 수업 이해 정도를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④ 학생은 현실 적용을 생각해 봄으로써 강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⑤ 동기 유발을 위해 학생이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익힐 기회를 주어야 한다.


소재: 수업 내용의 실제 적용 고찰의 필요성

예시는 추상적인 강의 자료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며 실생활의 적용도 역시 그러하다. 강의에서 나온 원리들이 어떻게 실생활의 상황들에 적용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라. 학생들은 자신들이 축적한 학술 자료를 결코 실제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함으로써 스스로 의욕을 떨어뜨릴 때가 있다. 학습의 한가지 중요한 측면은 어떻게 칠판 위의 원리들이 작업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 상상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키너 상자 (음식이나 음료 강화물에 대해 비둘기가 키를 쪼거나 쥐가 레버를 누르는 반응을 하는 것의 빈도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실험용 상자)안의 동물에 대한 다양한 강화 학습 스케줄의 효과를 관찰하는 것은 현실 세계로부터 백만 마일 떨어져(매우 동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여러분이 이러한 스케줄의 일부가 어떻게 자녀 양육의 실제에 적용될 수 있는지 또 어떻게 도박 행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알게 된다면, 여러분은 그 원리들을 더 잘 기억할 것이다.  





유럽내 주요도시공항2차공항 경쟁 일반적, 어느정도는 북미와 다른 지역에서도 

                  ↙↖                                                                   (S)     
    
(Competition between a major city airport and a secondary airport) is becoming a common feature in Europe and, {to an extent}, in North America and elsewhere.
주요 도시 공항 그리고 2차 공항 사이의 경쟁이 공통적인 특징이 되고 있다 .. 유럽에서 그리고, 어느 정도는, 북미와 그리고 그 밖의 다른 곳에서도 말이다. 


주요도시공항: 도시 경계내 위치, 편리함, 최근까지 해당 도시 교통량의 대다수 차지  

                                                                                                 = Major city airports
Major city airports tend to be located within the city boundaries, and they are convenient for passengers.
주요 도시 공항들은 위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도시 경계 안에 말입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승객들에게 편리합니다. 

                                                               ↙↖
Until recently, they handled (all or nearly all) of the traffic for the city.
최근까지, 그들은 그 도시의 거의 전체 교통량을 다뤘습니다. 





                                                               
최근에, 도시 약간 외각에 있는, 2차 공항 시장진입         

                                               S  ↙↖ p.p: ~ 된                                                   V
In recent years, secondary airports, {located at some distance from the city}, have entered the market for airport services.
최근 몇년 동안, 2차 공항들이, 도시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 공항서비스 시장에 말이죠.


= secondary airports        ↗    (과거: 추측) 이랬을 거다.         ↖ 
These airports may have been small regional airports, or they may have been military airports.
이러한 공항들은 작은 지역 공항들이었을 수도 있고, 혹은 그들은 군용 공항이었을 겁니다.



주요공항들 보다 불편하지만, 저렴한 요금이 매력적    

They are less convenient than the major airports, but they have been able to attract cost-conscious traffic / by offering lower charges.
그들은 (2차 공항들) 덜 편리합니다 .. 주요공항들 보다 말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비용에 민감한 교통량을 끌어들일 수 있었습니다 ... 저렴한 요금을 제공함으로써 말입니다.




저렴한 요금은 가격에 민감하고 돈을 절약하려는 승객들을 다루는 저가항공사에게 어필이 됨   

= lower charges                                                    ↗             ↘ low-cost carriers의 승객들이 ~
These have particularly appealed to low-cost carriers (LCCs), whose passengers are price sensitive but willing to put up with inconvenience / to save money.
   ~를 감수하다, 참다
이것들은 특히 어필해 왔습니다 .. 저가 항공사들에게 말이죠, (그들의 승객은) 가격에 민감하지만 ..돈을 절약하기 위해서 ..기꺼이 불편함을 감수하려는 경향이 있죠.   




풀서비스 제공하는 항공사들과 전면경쟁 없이 승객을 나를 수 있는 기회를 저가항공사에게 제공  

             * offer A B: A에게 B를 제공하다
= 2차 공항들     저가 항공사                  ↙↖
They also offer the LCC (an opportunity to fly passengers to or from a city / without entering head-to-head competition with full-service carriers)
       ↖↙
그들은(2차 공항들) 저가 항공사에게 기회를 제공합니다 ... 승객들을 한 도시(쪽)로 혹은 한 도시로부터 실어 나를 수 있는 기회를 말이죠 ... 전면적인 경쟁을 벌이지 않게 하고 말입니다.....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사들과 말이죠.


① policies to support a major city airport
② the successful emergence of secondary airports
③ marketing campaigns of airports around the world
④ the necessity of building airports outside city boundaries
⑤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airports


소재: 공항 서비스 시장에 진출하는 2차 공항

주요 도시 공항과 2차 공항 간의 경쟁은 유럽에서 그리고 어느정도, 북미와 그 밖의 다른 곳에서도 공통적인 특징이 되고 있다. 주요 도시 공항은 도시의 경계 안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어, 승객에게 편리하다. 최근까지, 그들은[그 공항들은] 그 도시의 교통량의 전체 혹은 거의 전체를 처리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도시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자리 잡고 있는 2차 공항이 공항 서비스 시장에 진출해 왔다. 그들은 소규모 지역 공항이었을 수도 있고, 또는 군용 공항이었을 수도 있다. 그 공항들은 주요 공항보다 덜 편리하지만, 더 저렴한 요금을 제공함으로써, 비용에 민감한 교통량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이것들은 특히 저가 항공사들의 관심을 끌어왔는데, 그들의 [저가 항공사] 승객은 가격에 예민하지만, 돈을 절약하기 위해 기꺼이 불편함을 감수한다. 그들은 [그 공항들은] 또한 저가 항공사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사와의 전며적인 경쟁에 돌입하지 않고 승객을 한 도시로 혹은 그 도시로부터 실어나를 기회를 제공한다.







뉴 매체특성: 통합, 쌍방향, 디지털, 하이퍼텍스트(동시)=>일반적이름: 다중(통합), 쌍향방, 디지털 매체 
                                                                                                                                                        
We can say / that the new media can be defined by all four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they are (media at the turn of the 20th and 21st centuries which are both integrated and interactive and use digital code and hypertext as technical means).                    w/v1                                                    w/v2
우리는 말할 수 있다 ... 새로운 매체가 정의 될 수 있다고 ..네 가지 특성 모두에 의해 ..동시에: 그들은 미디어(매체)다 ... 20세기 그리고 21세기의 전환기의 매체  ......(어떤 거냐면) 통합적이고 그리고 쌍방향 (둘다) 인 거 말이다.... 그리고 기술적 수단으로 디지털 코드와 하이퍼 텍스트를 사용하는 매체다.


당연한 결과로써 ~ 이 되다                                                                                                       
It follows / that their most common alternative names are multimedia, interactive media and digital media. 
그렇기에... 이런 (이야기)가 된다 ... 그것들의 가장 일반적인 다른 이름은 .. 다중매체, 상호작용 매체 그리고 디지털 매체.     


이런 정의로 => 미디어의 신/구 쉽게 구별     
By using this definition / it is easy to identify media as old or new.
이러한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 쉽다 ... 미디어를 구별하기가 .. 오래된 건지 아니면 새로운 건지 (로써). 





전통적인 티비: 통합적이긴 하나, 쌍방향, 디지털 코드 => OLD 매체
                                                                                                                          = traditional television   
For example, traditional television is integrated as it contains images, sound and text, but it is not interactive or based on digital code.
예를들어, 전통적인 텔레비전은 통합적이다 .. 왜냐면 그것이 이미지, 소리 그리고 텍스트를 포함하기에, 그렇지만 그것은 쌍방향이 아니고 혹은 디지털 코드에 기반을 두지도 않는다. 


평범한 구식전화: 쌍방향이긴하나, 통합적, 디지털 코드 => OLD 매체     
The plain old telephone was interactive, but not integrated as it only transmitted speech and sounds and it did not work with digital code.
평범한 구식 전화는 쌍방향이었지만, 통합적은 아니었다 .. 왜냐면 그것이 오직 말과 소리만 전달했기 때문에 ... 그리고 그것은 디지털 코드로 작동하지 않았다. 



VS    


                                                               
쌍방향 티비: 기존티비(통합적 특성) + 쌍방향성, 디지털 코드 => NEW 매체   
                         medium(단) / media(복)                 V 
In contrast, the new medium of interactive television adds interactivity and digital code.
대조적으로, 새로운 쌍방향 텔레비전이라는 새로운 매체는 ... 더한다 ...쌍방향성 그리고 디지털 코드를 말이다.



이동식, 고정식 전화통신: 기존 구식전화(쌍방향 특성) + 통합적, 디지털화 => NEW 매체  
Additionally, the new generations of mobile or fixed telephony are fully digitized and integrated / as they add text, pictures, or video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더욱이, 새로운 세대의 휴대전화 혹은 고정식 전화통신은 ... 완전히 디저털화 되고 통합적이다 .. 왜냐면 .. 그들이 글, 그림, 혹은 비디오를 추가하고 그리고 그들은 인터넷에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① practical limits of traditional mass media
② risks and rewards of sharing information online
③ strategies for effective digital data transmission
④ criteria for distinguishing new media from old ones
⑤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al communication devices


소재: 새로운 매체의 특징

새로운 매체란 네 가지 특징 모두에 의해 동시에 정의될 수 있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그것들은 통합적이고 쌍방향이며 기술적 수단으로 디지털 코드와 하이퍼텍스트를 사용하는 20세기와 21세기의 전환기의 매체이다. 그렇기에 그것들의 가장 일반적인 다른 이름이 다중 매체, 쌍방향 매체, 디지털 매체라는 이야기가 된다. 이 정의를 사용하면 매체가 구식인지 신식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쉽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텔레비전은 그것이 이미지, 소리, 글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통합적이지만, 쌍방향이 아니며 디지털 코드에 기반을 두고 있지도 않다. 평범한 구식 전화는 쌍방향 이었지만, 그것은 오로지 말과 소리만 전송하기 때문에 통합적이지 않았으며 디지털 코드로 작동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쌍방향의 텔레비전이라는 새로운 매체는 쌍방향성과 디지털 코드를 더한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대의 이동식 또는 고정식 전화 통신은 글, 그림 또는 영상을 추가하고 인터넷에 연결되기 때문에 완전히 디지털화되고 통합적이다.





재난 대응은 복잡 해지고 있음: (단순) 수십개 기관 => (현재는) 수백, 수천개 모여듬 (많이 참여 
Disaster response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with each new event.
재난 대응은 점차 복잡해 지고 있다 .. 각 새로운 사건과 말이다. 



 대 ↔ 조              ↙↖          (S)   V          모이다                          ↙↖                                  
Whereas (dozens of agencies) used to converge upon (the scene of an earthquake or flood), there are now hundreds, and occasionally thousands.
수십 개의 기관들이 지진이나 홍수의 장소에 모여들곤 했던 것과는 (좀 다른 양상으로), 이제는 수백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수천개가 있다 (해당 장소에).  



2004년 쓰나미 사건: 수질 문제 (200개 이상), 식량, 대피, 의료, 재건 (수천개나 더 많은 단체)
                                                                                                  ↗↘              S              V
In response to the December 2004 tsunami events, {for example}, over 200 organizations addressed (the single issue of water quality), while (thousands more) provided (food aid, shelter, medical assistance, and many other victim and rehabilitation needs).                   (s)        v
    n. 재건, 회복, 재활     n. 필요, 요구 
2004년 12월 쓰나미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예를들어, 200개가 넘는 기관들은 다뤘다 ...수질이라는 단일 문제를 말이다, 한편 수천개나 더 많은 단체들은 제공했다 .. 식량지원, 대피소, 의료지원, 그리고 많은 다른 (피해자와 재건)에 필요한 것들을 말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연구가 이런 많은 기관들의 조직적인 대응 관련 무엇을 보여주나? (긍정 VS 부정)  =>   ??  ??       
                                        prep. ~에도 불구하고  n. 로 쓰임                                (s)          (v)
Studies have found / that {despite coordination attempts} (these responding agencies) still tend to work independently and in an uncoordinated manner, resulting in unnecessary delays and inefficiencies in the distribution and provision of relief.                           =>
연구는 발견했습니다 ... 조직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대응단체들은 여전히 경향이 있습니다 .. 일하려는 ...독립적으로(따로따로) 그리고 조직화되지 않은 방식으로 말입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지연과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음을 말입니다 ... 구호품의 분배와 제공에 있어서 말입니다. 





조직화관련 필수정보에서 지연, 차이, 부정확성   
                                        (S)      V                                        ↙↖                      s              v
(Lags, gaps, and inaccuracies) persist / in (the vital information upon which coordination depends).
지연, 차이, 그리고 부정확성이 계속 남아 있습니다 .. 필수적인 정보에서 ... 조직화가 의존하는... (조직화를 좌우하는 정보에서)



함께 하고픈 (비정부, 지역) 단체들 대응 조직과정에서 누락.  
                                                                                                                           ← ↖ p.p :~된          (S)
Even when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involved in response) would like to work together, they are often left out of the coordination planning processes / before and during disaster response.         = ( 검정 안)                                                                 
심지어 비정부 단체 그리고 지역 사회단체가 .. 대응에 관련된(참여한) ... 함께 일하고 싶을 때 조차, 그들은 종종 조직화 계획 과정에서 제외 됩니다 ...(재난) 대응 이전 그리고 도중에 말입니다.  



① insufficient relief to be distributed to victims of disasters
② lack of organized effort among disaster response agencies
③ demand for immediate assistance at the scene of a disaster
④ shortage of responding agencies in cases of disaster events
⑤ absence of independent work among disaster responding agencies


소재: 조직적인 재난 대응의 실태 

재난 대응은 각각의 새로운 사건이 일어남에 따라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수십 개의 기관들이 지진이나 홍수 현장에 모여들곤 했던 것에 반하여, 현재는 수백 개, 그리고 때로는 수천 개가 모여든다. 예를들면, 2004년 12월의 지진 해일 사건에 대응하여 200개가 넘는 기구들이 수질이라는 하나의 문제를 다룬 한편, 수천 개나 더 많은 단체들이 식량 지원, 대피소, 의료 지원, 그리고 피해자와 재건을 위해 필요한 다른 많은 것을 제공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대응 단체들은 조직화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독립적이고 조직화되지 않은 방식으로 일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구호품의 분배와 제공에 있어서 불필요한 지연과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있다. 조직화를 좌우하는 필수적인 정보의 지연, 격차, 부정확성이 계속해서 남아 있다. 재난 대응에 참여하는 비정부 단체나 지역 사회 단체가 함께 일하고 싶어할 때조차도, 재난 대응 이전과 도중의 조직화 계획 과정에서 종종 제외된다. 







일반적으로
홍수(=파괴)라 생각하, <<< (
범람원) 생태계 홍수(긍정적 측면)에 의존

                             * think of A as B: A를 B로써 생각하다. 
                                             A                  B                 = 범람원(강 범람시 물에 잠기는 강가 평지)        
  

Although we normally think of floods as destructive events, flood plain ecosystems depend on floods.
비록 우리가 일반적으로 홍수를 파괴적인 사건으로 생각하지만, 범람원 생태계는 홍수에 의존합니다. 






G ex) 미라누마 씨앗 홍수 후 발아, 물새 범람원 습지에 의존 
                                               S1              V1                                     S2         V2
For example, cottonwood tree seeds only develop after a flood, and waterfowl depend on flood plain wetlands.
예를들어, 미라누마의 씨앗은 오직 발아합니다 .. 홍수 뒤에, 그리고 물새는 범람원 습지에 의존합니다. 



G ex) (평상시: 더 강한 놈 득세 vs 홍수시: 물고기 득세) => 물에 잘 적응해온 물고기는 개체 수 ↑
                           S                V.: ~에게 밀리다                                         앞의 S(가) ↘
Many species of fish gradually lose out to stronger competitors during normal flows but have adapted better to floods, so their populations increase as a result of flooding. 
                        n. 개체              
많은 물고기 종들이 점차적으로 밀리게 됩니다 ..더 강한 경쟁자들에 있어 일반적인 (물의) 흐름 동안에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훨씬 더 홍수에 잘 적응해 왔고, 그렇기에 그들의 개체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홍수의 결과로 말이죠.  


이는, 홍수/ 비홍수 왔다갔다 => 결과 (종)의 다양성유지됨을 의미 
                    n. 다양성                                            
Thus species diversity is maintained by interchanging periods of flooding and normal flow.
그리하여 범람과 평상시의 (물의) 흐름이 번갈아 일어남으로써 종의 다양성이 유지된다. 


                                                        



                                                                                                                                                       
G ex)(평상시) 강둑안을 따라가 바다바닥 퇴적,(홍수시) 강둑 넘어 (바다바닥) 아닌 삼각주퇴적(넓어짐)

Deltas are created and expanded by floods.
삼각주는 형성되고 확장됩니다 .. 홍수에 의해. 


                     ↗   ↘                                                                                S            V1           
At normal times, {when rivers are confined within their banks}, the flowing water transports sediment out to sea and deposits it on the ocean floor
           V2   = sediment      n. 해저
평상시에, 강물이 그들의 강둑안에 갇혀있는 때, 흐르는 물은 퇴적물을 운반합니다 ...(강 밖) 바다로 말입니다 .. 그리고 그것을 침전시킵니다 .. 해저(바다 바닥)에 말이죠.


                                   S       V1                                                 V2
But during floods, river water rises / above the stream banks and covers the delta land.
하지만 홍수에는, 강물이 넙칩니다 ... 강둑위로 말입니다 그리고 삼각주를 덮게 됩니다.

      
When the flood waters slow down, they deposit sediment, thus expanding the delta.
홍수 물(흘러 넘친)이 느려지면 (속도가), 그것은 퇴적물을 침전시킵니다, (그 결과) 삼각주를 확장하게 됩니다.  

                                                                                                                                      * sediment: 퇴적물


① how ancient people used floods in agriculture
② importance of preserving water resources
③ beneficial impacts of floods on ecosystems
④ how to prevent floods using simple measures
⑤ devastating floods that changed world geography


소재: 홍수와 생태계

우리는 보통 홍수를 파괴적인 사건으로 생각하지만 범람원의 생태계는 홍수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서, 미루나무의 씨앗은 홍수가 난 후에야 발아하며 물새는 범람원의 습지에 의존한다. 많은 종의 물고기는 평상시처럼 (물이) 흐를 동안에는 더 강한 경쟁자들에게 점차적으로 밀리게 되지만 홍수에는 더 잘 적응해 왔기 때문에 그들의 개체 수는 홍수의 결과로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범람과 평상시의 (물의) 흐름이 번갈아 일어남으로써 종의 다양성이 유지된다. 삼각주는 홍수에 의해 만들어지고 확장된다. 강물이 강둑 안에 갇혀 있는 평상시에는 흐르는 물이 퇴적물을 바다로 이동시켜 해저에 침전시킨다. 그러나 홍수 때에는 강물이 강둑 위로 넘쳐 삼각주의 땅을 덮게 된다. 흘러넘친 물이 속도가 느려지면 퇴적물을 침전시켜 삼각주를 확장하게 된다.




소의 타고난 능력 (인간소화 X 풀) => (인간소화 O 고기)로 변환 => 오 thank you!  
                                         ↙↖                          ↙↖                                                        ↙↖
Cattle are born with the ability to convert (grasses that we humans cannot digest) into (flesh that we can digest).                                                            풀을         ========================>        고기(살)로
소는 태어난다 .. 능력과 함께 .. 바꿀 수 있는 능력 ...우리 인간이 소화 시킬 수 없는 풀을 .... 우리가 소화시킬 수 있는 고기로 바꾸는 능력 말이다. 



그렇군.. 돼새김 동물, 두번째 위 속 [박테리아가 섬유소(풀) => 단백질, 지방(고기)] 로 전환 
                                       prep. ~ 와 달리  ↙↖                                                     n. 반추[되새김] 동물
They can do this / because, {unlike humans who possess only one stomach}, they are ruminants.
그들은 이것을 할 수 있다 왜냐면, 하나의 위밖에 없는 인간들과 달리, 그들은 반추[되새김] 동물이기 때문이다.


                                               ↙↖                ↙    ↖                                        ↙↖
They possess a second stomach called a rumen - (a roughly forty-five-gallon tank in which resident bacteria convert cellulose into protein and fats).                                                                                                   s
    v         A                   B       n. 지방   
그들은 소유한다 .. 두번째 위를 .. 혹위라고 불리는 - 대략 45 갤런의 저장고 .. (그속에서)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섬유소를 단백질과 지방으로 바꾸는 저장고 말이다. 




                                               
근데, 오늘날 가축사육장서 인간이 냠냠 가능한 음식을 먹고 , 그것을 비효율적으로 그것을 고기로 전환 중  
                                                        ↙↖ p.p                        (S)                        ↙↖
In today's feedyards, {however}, (cows fed corn and other grains) are eating (food that humans can eat), and they are quite inefficiently converting it into meat. 
오늘날의 가축 사육장에서, 하지만, 옥수수와 그리고 다른 음식들로 (먹여)진 소들은 ...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먹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아주 비효율적으로 [그것(인간이 먹을 수 있는 음식)고기로 바꾸고 있다.]  
                                                                                                                    [        ]
                인간이 먹을 수 없는 풀이나 먹고 고기 만들면 타고난 능력 발휘하는건데 ....         낚시    



소한테 1파운드 소고기 얻으려면 ? 대략 7~16파운드 곡물 필요 => 인풋대비 효율 ↓   
                                   ↗                                                                                  
Since it takes (anywhere from seven to sixteen pounds of grain) to make one pound of beef, we actually get far less food out / than we put in.
대략 7~8파운드의 곡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 1파운드의 고기를 만드는게, 우리는 실제로 훨씬 더 적은 음식을 얻고 있는 것이다 .. 우리가 투입하는 것보다 말이다. (소한테 넣는 식량 인풋 대비 나오는 게 별로다.)



It's a protein factory / in reverse.                                                              
그것은 단백질 공장이다 ..거꾸로 된.                                                          
                  

                                                                           낚시        
                                                                       ↙    
먹을 것 부족한 사람 있는데, 이걸 대규모로 하고 있음.  => 식량도 부족한데 (비효율)을 하고 있음 
And we do this on a massive scale, while nearly a billion people on our planet do not have enough to eat. 
그리고 우리는 이것을 거대한 스케일로다가 행한다, 지구상 거의 10억명의 사람들이 먹을 것이 충분히 없는데 말이다.  




정녕 제대로된 단백질 공장라 할 수 있음? 

                                                                                                                   * rumen: 혹위(반추 동물의 제1위)


① dangers of eating feedyard beef                                              사육장 소고기 섭취의 위험성
② moral concerns with cattle farming                                          소 사육에 대한 도덕적 문제(관심사)
③ the ability of cattle to convert grass into nutrients                      풀을 영양분으로 바꾸는 소의 능력
④ inherent unreasonableness of feedyard operation       가축 사육장 운영의 내재적인 불합리함
⑤ a new management method of cattle feedyard waste                 가축 사육장 오폐물에 대한 새로운 처리 방식  

소는 우리 인간이 소화시킬 수 없는 풀을 우리가 소화시킬 수 있는 고기로 바꾸는 능력을 타고난다. 그들은 오로지 하나의 위를 가진 인간과 달리 반추[되새김] 동물이기 때문에 이것을 할 수 있다. 그들은 혹위라고 일컬어지는 또 하나의 위를 갖고 있는데, 이는 그 안에서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섬유소를 단백질과 지방으로 바꾸는 대략 45 갤런의 저장고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가축 사육장에서 옥수수와 그 밖의 다른 곡물을 먹여 왔던 소는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먹고 있고, 매우 비효율적으로 그것을 고기로 변환 하고 있다. 1 파운드의 소고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략 7~16파운드의 곡물이 필요하므로, 우리는 사실상 우리가 투입하는 것보다 훨씬 더 적은 식량을 얻어 내고 있다. 그것은 정상에서 역행하는[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하는] 단백질 공장이다. 그리고 지구상에서 거의 10억 명의 사람들이 먹을 것이 부족하지만, 우리는 이것을 대규모로 행하고 있다.






비록 미국 지역사회 농산품 다국적 기업 의사 반영 << 몇 중요한 이유들 지역통제 식품체제 출현 정당화

                                                 ↙↖                           ↙↖ p.p ~ (발견)되는                      
Although
(the nature and range of agricultural products found in most American communities) are shaped by (the decisions made by large multinational firms),                                               비록의(s)    v
                    ↖↙ p.p                                      
                                                                                          (S)     V                                 ↙↖
(important environment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reasons) justify (the re-emergence of a smaller-scale, more locally controlled food system).
                                           
비록 특성과 종류(범위) ..농산물들의 ... 대부분의 미국 지역사회에서 발견되어지는 ... 대규모 다국적 회사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결정에 의해 형성되지만, 중요한 환경적,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인 이유들이 정당화 시킵니다 ... 재 출현을  ... 더 작은 규모의, 더 지역적으로 통제되는 식품 체계를 말입니다.    



                                                   
점차 시민농업이 스멀스멀  
A new civic agriculture is emerging and taking hold in every region of the country.
새로운 시민농업이 출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 전국 모든 지역에서 말입니다.




시민농업을 향한 중대 징후를 대변하는 것들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 farmers' markets, specialized agricultural districts, alternative food stores, and consumer cooperatives) represent (important manifestations of the movement / toward a civic agriculture). 
                             (S)        V                      n. 징후                                       →           
공동체 지원 농업(공동체에 의해 지원되는), 농산물 직판장, 특화 농업지구, 대체 식품 가게, 그리고 소비자 협동조합이 중대한 움직임의 징후를 나타내줍니다 .. 시민농업을 향한 징후를 말입니다.   



새로운 조직형태들 잠재력 많음: 지역경제 발전, 생산품 품질유지, 지역 정체성, 결속을 위한 장 제공

                                                            잠재력 ①, ②, and ③ 할 수 있는
                                         S        V       n.잠재력  (↙)↖    ①                                                   ②
These new organizational forms have (the potential) to nurture local economic development, maintain diversity and quality in products, and provide (forums where producers and consumers can come together/ to strengthen bonds of local identity and solidarity).            ↖↙                                                                        → ~ 위해서
이러한 새로운 조직 형태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 지역 경제발전을 육성할 수 있는, 생산품의 다양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그리고 포럼(토론의 장)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이 모일 수 있는 ...(토론의 장 말입니다) 지역 정체성과 결속의 유대를 강화시킬 수 위해서 말입니다. 




농부, 소비자 연결 재건 => 미국 전역 지역사회 (사회, 환경적) 통합적 식품체계 기반 확립 될 것

                                       ↙↖                                           ←↖                             (S)
By rebuilding the linkages between farmers and consumers / wherever possible, (communities /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will establish (a foundationfor a more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integrated food system).                              V                          ↖↙
 연결을 재건함으로써 .. 농부들과 소비자들 사이에서 말입니다 .. 가능한 모든 곳에서, 미국 전역의 지역사회들은 기반을 확립하게 될 것입니다 ... 더욱 사회적으로 그리고 환경적으로 통합된 식품 체계를 위해 말입니다.


① emergence and potential of civic agriculture          시민 농업의 출현과 잠재력
② diminishing interest in small-scale local farming                  소규모 지역 농업에 대한 줄어드는 관심
③ problems of large multinational agricultural firms                  대형 다국적 농업 회사들의 문제점
④ demand for improvement in agricultural technology              농업 기술 향상에 대한 요구
⑤ necessity for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 system           친환경 식품 체제의 필요성


소재: 시민 농업의 출현과 전망

비록 미국의 대부분의 지역 사회에서 보이는 농산물의 특성과 종류는 대규모 다국적 회사들이 내리는 결정에 의해 형성되지만, 중요한 환경적,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이유들이 더 작은 규모의, 좀 더 지역적으로 통제되는 식품 체제의 재출현을 정당화시키고 있다. 새로운'시민 농업'이 출현하고 있고 전국 모든 지역에서 자리를 잡고 있다. 공동체 지원 농업, 농산물 직판장, 농업 특화 지구, 대체 식품 가게, 소비자 협동조합이 시민 농업을 향한 움직임의 중대한 징후를 나타낸다. 이러한 새로운 조직 형태들은 지역의 경제 발전을 육성하고, 산물의 다양성과 품질을 유지하고, 지역의 정체성과 결속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이 힘을 합칠 수 있는 장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가능한 모든 곳에서 농부들과 소비자들 사이의 연결을 재견함으로써, 미국 전역의 지역 사회들은 더 사회적, 환경적으로 통합된 식품 체계를 위한 기반을 확립할 것이다.







포도밭 온도 측정 상황 가정 
                                                                      ↙↖
Suppose / we ne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 a vineyard).
가정해 보자 ..우리가 측정할 필요가 있다고 ...포도밭에서의 온도를 말이다.  



                                                                                        
넓은곳에 온도 센서 단 하나면 ① => 치밀(정확) 해야지  
                                                           ↙↖                                                     = (넓은 구획의) 단 하나 센서 
If we have (only one temperature sensor for the whole plot of land), we must make sure / it is accurate and working / at all times; no messiness allowed.                                                          (that)              
              항상     *
no N allowed: N이 허용되지 않는다.
만약 우리가 오직 한개의 온도센서만 갖고 있다면.. 땅의 전체 구획에 대해 말이다, 우리는 확실히 해야 한다 .. 그것이 정확하고 그리고 항상 작동하고 있는 걸 말이다; 혼란스러움은 허용되지 않는다. 




반대로, 수백그루 포도나무 당 각 센서가 있다면? => (여러개니) 엉터리 아니면 덜 까탈, 걍 쓰겠지  
                                                ↙↖                                                         
In contrast, if we have (a sensor for every one of the hundreds of vines), we can use cheaper, less sophisticated sensors (as long as they do not introduce a systematic bias).
                ~ 하는 한                                                   n. 편향, 편중
반면에, 만약 우리가 센서(감지기)가 있다면 ...수백그루 포도나무의 각 한 그루당, 우리는 더욱 저렴하고, 덜 정교한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다 ... 그것들이 일관된 편중(결과)를 보이지 않은 한은 말이다. 

                                                                                                                                            (낚시) 
   (100 그루 센서들중)                                                                                                             ↓     
         ↖                                        | ̄ ̄ ̄ ̄ ̄ ̄(A) ̄ ̄ ̄ ̄ ̄ ̄ ̄ ̄ ̄↘                              
물론, 몇 센서들 자료 아마 부정확 (그래서)=> () 자료집합 보다 부정확, 혼란자료집합 만들수도 있겠지.  
                                                                                                                                                   ↘  
Probably, {at some points}, a few sensors may report incorrect data, creating (a less exact, or "messier," dataset) than the (one from a single precise sensor).                             , which creates 
           =dataset↖↙
아마도, 어느 순간에는, 몇몇 감지기들이 부정확한 자료를 보일 것이다, 만들어내고 말이다... 덜 정확하고, 혹은 더 혼란스러운 자료집합을 말이다 .... 하나의  정확한 감지기에서 나온 놈(자료집합) 보다 말이다. 



                                    여론 조사 1명 보다는 => 100명이  => 100명 보다는 1000명이 더 종합적 의견 반영하겠지.   
많은 것 중 특정 측정치는 부정확 할 수 있지 => 근데, 측정치 모듬은 훨씬 더 종합적인 그림을 만들지.
Any particular reading may be incorrect, / but the collection of many readings will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어떤 특정한 측정값은 부정확할 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많은 측정값들의 수집은 더욱 종합적은 그림(모습)을 제공할 것이다. 


                                     
더 많은 자료값들은 혼란스러움 (A)정도라 치자 보상할만한 훨 큰 가치를 제공한다.

                                                                     = 많은 측정값의 자료집합     ↙↖  ad.아마도, ~ 듯한       
Because this dataset consists of more data points, it offers (far greater value that likely compensates for its messiness).                                                                                                      |_↗ 
이러한 자료집합이 더 많은 자료 측정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것은 더 유용한 가치를 제공해 준다....그것의 혼란스러움을 (아마) 보상해줄 수 있을 유용한 가치를 말이다. 


① the importance of accurate measurement                          정확한 측정의 중요성
② the benefit of obtaining a large set of data          많은 양의 자료 획득의 이점
③ types of sensors appropriate for vineyards                      포도밭에 적절한(온도) 감지기의 유형
④ factors influencing the value of the dataset                      자료 집합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⑤ the effects of technology on grape farming                       기술이 포도 농사에 미치는 영향


소재: 많은 양의 자료 수집이 가지는 장점

우리가 포도밭에서 온도를 측정해야 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우리가 땅의 전체 구획에 대해서 오직 하나의 온도 감지기만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그것이 정확하고 항상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혼란스러움은 허용되지 않는다. 반면에, 만약 우리가 수백 그루의 포도나무 한 그루마다 감지기를 가진다면, 우리는 더 저렴하고 덜 정교한 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그 감지기들이 일관되게 편의[편중된 결과]를 보이지 않는 한). 어쩌면, 어느 순간에는, 몇몇 감지기들이 부정확한 자료를 보일 수 있고, 그래서 하나의 정확한 감지기로부터 얻은 자료 집합보다 덜 정확하고, 혹은 '더 혼란스러운' 자료 집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어떤 특정한 측정치는 부정확할 수도 있지만, 많은 측정치의 수집은 더 종합적인 모습을 제공할 것이다. 이 자료 집합은 더 많은 측정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쩌면 그것의 혼란스러움을 보상해 줄 수도 있을 훨씬 더 유용한 가치를 제공해 준다.





이것 만큼은 이멜에 대해 분명히 안다:  형태와 기능이 무척 다양. ↓
 
       ↙↖                                                                                                                                             
(What we do know definitely about emai) is that it shows incredible diversity in both form and function.
우리가 이메일에 대해 분명히 아는 것은 .. 이거다 ... 그것(이메일)이 믿을 수 없을 만큼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것... 형태와 기능 둘다에서 말이다. 



                                                                                       
1. 마지못해 할머니에게 감사편지 보내는 꼬마의 이메일
  
                                                    a. 마지못한, 꺼리는                                            = and thank                     
In response to parental pressure, / a reluctant ten-year-old sends Grandma an email, thanking her for a Christmas present, while a trial lawyer puts (opposing counsel) on notice, {by email}, that his client refuses to settle
                                                 (    ) 에게 통보, 통고하다     ↖           <=> ↙                               v. 합의를 보다 
부모의 압박에 반응하여(못 이겨), 마지못해 하는 십대 아이는 할머니에게 이메일을 보냅니다, 그녀에게 크리스마스 선물 감사하다고, 반면에 한 법정 변호사는 상대 변호사에게 알립니다, 이메일로, ... 다음을 .. 그의 고객이 합의 보기를 거부했다는 걸 말입니다.    


                                                                                                                               
2. 친구한테는 대충 발로 적은 이메일  VS 3. 그러나 돈 될때는 신중해 지는 이메일
 
        v. 발송하다                         ↗↘                                                            
After dispatching (a hastily written email) to a friend, saying I'll be late for our luncheon meeting today, I turn around / and carefully edit (my email requesting a larger budget / next year).                                               V1
                             V2              ↖↙   ~ 하는
친구에게 후다닥 적은 이메일을 발송한 후에, 내용은 ...나는 오늘 우리 점심 약속에 늦을 거야라는 메일을, 나는 돌아 앉아서 신중히 내 이메일을 수정한다 .. 다음해에 더 많은 예산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말이다. 



                                                                                                     
이 메일을 전부적용이 되는 한 가지 정의로 특정 짓는 것은 무의미 

    (실S)     v. 특징짓다                          모든 것에 적용되는 한가지                묘사하는 것만큼 하다.
(Trying to characterize email style with a "one size fits all" definition) is about as meaningless as describing an "average" American meal: Meatloaf or minestrone? Potato pancakes or pad thai? Cola or cappuccino?
이메일을 "모두에게 다 적용되는" 정의로 특정지으려고 하는 것은 ... 이 정도 만큼 무의미하다 ... 평균 미국인의 식사를 이렇게 묘사하는 것 만큼이나: 미트로프 아니면 미네스트로네 ? 포테이노 펜케이트 아니면 팟 타이? 콜라 아니면 카푸치노?




이제, 이메일은 맞춤화 되사용자의 수만큼이나 스타일과 내용이 다양  

By now, email has become so domesticated, at least in the United States, that its style and content are as various as (the people using it).
                  ↖↙  ~하는
이제, 이메일은 아주 받아들여 져서, 적어도 미국에서는, 그것의 스타일과 내용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 만큼이나 다양하다.

                                                                              * domesticated(외국의 습관, 말 따위를) 자기 것으로 받아들임



① making excuses by email
② varied styles and uses of email
③ reasons that people favor email
④ dos and don'ts in writing email
⑤ writing styles for business email


소재: 전자 우편의 다양한 형태와 사용

우리가 전자 우편에 대해서 분명히 알고 있는 것은 그것이 형태와 기능 모두에서 믿을 수 없을 만큼 다양성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부모의 압박에 못 이겨, 마지못해 하는 열 살 아이는 할머니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에 대해 감사하는 전자 우편을 보내는 한편, 어떤 법정 변호사는 상대편 변호사에게 전자 우편으로 자신의 고객이 합의를 보는 것을 거부한다고 통고한다. 나는 오늘 점심 만남에 늦을 것이라고 서둘러 쓴 전자 우편을 친구에게 보낸 후에, 돌아앉아서 내년에 더 많은 예산을 요청하는 나의 전자 우편을 신중하게 수정한다. 전자 우편의 형태를 '모두에 두루 적용되는 한가지' 정의로 특징지으려고 하는 것은 '평균적인' 미국인의 식사를 미트로프인지 미네스트로네인지, 감자 팬케이크인지 팟 타이인지, 콜라인지 카푸치노인지로 묘사하는 것만큼이나 거의 무의미하다. 이제, 전자 우편은 적어도 미국에서는 충분히 받아들여져서 그 형태와 내용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만큼이나 다양하다.





MOBILTRAK 개발 왜?: (차타고) 어느 장소 갈때 차 수신기가 => 어디 라디오 방송국에 맞춰졌는지 감지 

                                     ↙↖ p.p (O)~라 불리는                               →                                    ↙
(A shoebox-sized devicecalled MOBILTRAK) has been developed / to detect (the radio station that <your receiver in your car> is tuned to) / as you arrive at a shopping center, concert parking lot, or mall. 
                     <s>         v        ~ 때
MOBILTRAK이라고 불리는 구두상자 크기의 장치가 개발되어졌습니다 ... 라디오 방송국을 감지하려고 ...당신의 차 안에 있는 수신기(방송을 듣기 위한)가 맞춰져 있는 (라디오 방송국에...) ..... 당신이 쇼핑센터, 콘서트 주차장, 그리고 시장에 도착할 때 말입니다.   




일부는 그걸 (MOBILTRAK 장치) 사생활 침해라 비난해 옴


Some people have criticized the technology as an invasion of privacy.
몇몇 사람들은 그 기술을 비난해 왔습니다 ...사생활 침해라고 말이죠. 




근데, 다른 건 별 기록 안하고, 다만 채널이 맞춰진 방송국은 기록=> ?

= the technology (단수 대명사 O)                                                                           
It does not record your conversations or any other automobile or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just (the station to which you have tuned in).         
↖↙ ↖          you have tuned in to               * tune (in) to: ~에 (채널)을 맞추다
           ↖ __________|
그것은 기록하지 않습니다 .. 당신의 대화를 혹은 어떤 다른 자동차도 혹은 개인정보를, 하지만, 단지 ... 당신이 채널을 맞춘 그 방송국만 기록할 뿐이죠. 



장치는 이미 널리 사용 중.
      | ̄ ̄ ̄(O) ̄ ̄ ̄|
 = 그러한                   N      
Such monitoring systems are already in use / in a number of major cities. 
그러한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이미 사용 되고 있다 .. 많은 큰 도시들에서 말이다. 
                                                                                                         



해당 지역 방송국들 참고 청취율 체계: 특정시간의 인기 방송국 확인, 사람들 특정순간 (ex. 쇼핑)에 뭐 듣는지

                                                                                 의 목적어 
                                                           => tell {by a kind of ratings system} (which ~) and (what ~~)
                                                                                                                                 
                        ↙↖ p.p ~ 된              | ̄ ̄ tell의 직접적인 목적어 (X)==>by which ̄ ̄| ̄(and ()
(The information provided) is a kind of ratings systemwhich stations in the area can tell (which has the largest audience at a particular time) and (what kind of music or programs people are listening to / at any particular moment).                                                                                                               distinguish 정도의 의미 
제공된 정보는 .. 일종의 평가 시스템이다 .. 해당지역의 방송국들이 (by 그것에 근거하여) 말할 수 있는(알 수 있는)... 어떤 것(방송국)이 특정한 시간에 가장 많은 청중을 가졌고 그리고 어떤 종류의 음악과 프로그램을 사람들이 듣고 있는지 .. 특정 순간에 말이다.                                                         by (which stations in the area) can tell  ~. 
                                                                                                         s'  ↖↙                    v'



잘봐, "우리 방송국 인기는 이 정도, 이 타이밍은 이 광고가 매출↑될거야(광고주) 설득(꼬시기) 지표로 가치

                                                                                                   ↙ ̄ ̄ ̄ ̄ ̄ ̄ ̄ ̄ ̄ ̄ ̄ ̄ ̄ ↖
                                                                  ↙[↖]                    ↙       ~ 에게        that 이하를~. ↗
Such information is valuable to (broadcasters [who want to convince advertisers ⑤ that they have a large market share and are providing the content that people desire)]).  v. 납득, 확신시키다                    v1 
                        v2                           ↖↙
그러한 정보는 가치있다 ... 방송국에 말이다 ...광고주에게 (that) 이하를 납득시키고자하는 방송국에 말이다... 그들(방송국 본인들)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고 .. 그리고 사람들이 원하는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라는 걸 말이다.


소재: MOBILTRAK의 용도와 가치 

MOBILTRAK이라고 불리는 구두 상자 크기의 장치가 여러분이 쇼핑센터, 콘서트 주차장, 또는 쇼핑몰에 도착할 때 자동차의 수신기가 맞춰진 라디오 방송국을 찾아내기 위해 개발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그 장비를 사생활 침해라고 비판해 왔다. 하지마 그것은 여러분의 대화나 어떠한 다른 자동차나 개인 정보를 기록하지 않고, 여러분이 채널을 맞춘 방송국을 기록할 뿐이다. 그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미 많은 주요 도시에서 사용되고 있다. 제공되는 정보는 그 지역에 있는 방송국들이 어떤 방송국이 특정 시간에 가장 많은 청취자를 가졌는지와 사람들이 특정 순간에 어떤 종류의 음악이나 프로그램을 청취하는지 알 수 있는 일종의 청취율 체계이다. 그러한 정보는 자신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고 사람들이 원하는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광고업자들에게 납득시키고자 하는 방송국에 유용하다. 






다른 종의 긍정적 감각 경험 존재(있다)부정 해옴 : 왜? 그 종이 뭐 느끼는지 몰라

For too long / scientists have denied / the existence of positive sensory experiences in other species / because we cannot know {for certain} (① what another being feels). 
                          |________↗ 느끼는 (O)
매우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부정해 왔다 .. 다른 종에서의 긍정적인 감각경험 존재를 말이다 왜냐면 우리가 확실히 알지 못한다는 이유로 말이다... 다른 존재(생명체)가 느끼는 게 무엇인지 말이다. 




VS                                                      



 = (다른 종)의 긍정적 감각경험(존재)없어                                   
근데 반대에 대한 확증 없이는, 우리와(공통진화=>공유)하는 다른종이(기쁨을 경험한다)라 가정이 타당.
 

                                                                                                                  가정하다 | ̄↘ "that 이하를"
But in the absence of compelling evidence to the contrary, / it is more reasonable to assume / that (other creatures, who share so much in common with us / through our shared evolutionary origins), ② do, {in fact}, experience pleasure.                                                                                                 (s')     조v (강조)
   v                                                  
하지만 반대(그렇지 않음)에 대한 설득력있는 근거가 없을시에는, 훨씬 타당하다 ... 가정하는게 ... 다른 동물들이..., 우리와 공통적으로 많은 것을 공유하는 ... 공통적인 진화기원을 통해, ......다른 생명체들이 (정말) , 사실은, 기쁨을 경험한다라고 말이다.         
                  Cf.앞 뒤 연결고리가 확실히 이해 안되면, 더보기를 클릭






다른 종의 (기쁨에 대한) 내면을 (직접) 느낄 순 없지만, 비슷한 상황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상은 가능. 

                                                  n. 반응                               n. 꿀, 즙                                       ↙↖ (O)
We cannot feel (the hummingbird's response to a trumpet flower's nectar) or (the dog's anticipation of chasing a ball), but we can imagine those feelings / based on our own experiences of similar situations.
우리는 느낄 수 없다 ...능소화(식물의 일종) 꿀에 대한 벌새의 반응을 ...혹은 공을 쫓고자하는 개의 기대감를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감정들을 상상할 수는  있다 .. 비슷한 상황에서의 우리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말이다.   




                                                                                 ↗   오~ 인정 ㅋㅋ  ↘    =>  little doubt
동물관찰, 오, 공감(그런 경험: ex. 축구 기분 ↑   , 벌꿀 냠냠↑) => a rich repository of pleasure 


[
실S]↖                                          {(+) p.p ~되어}                    ↙↖                                              
[(What we can observe / in animals), {combined with our capacity to empathize from our own experience}], ④ leave little doubt that the animal kingdom is a rich repository of pleasure
(본V: 단수형 =>leaves)
우리가 동물에게서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경험으로부터 (오는) 공감할 수 있는 능력과 결합되어, (거의) 의심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 .....동물계가 기쁨의 풍요로운 저장소란 것을 말이다.   


                                                    

                                                                                           
                           ̄ ̄ ̄ ̄ ̄ ̄ ̄ ̄ ̄ ̄ ̄ ̄         
                                     

동물 즐거움 더 인정 => 증거도 왜?  우리가 그 감정(동물기쁨) 찾으려 할때, 더욱 뭔가 찾을 듯 하니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v. 인정하다                       ↙↖                                              = the pleasure 
And as we grow to acknowledge (the pleasure that attends animals' lives), evidence for ⑤ it will grow rapidly, for we are more likely to find something / when we are looking for the emotion.   동물 기쁨(있음)의 증거         왜냐면
                                                                                                                                                   , for sv~.:
그리고 우리가 동물들의 삶에 수반되는(있는) 기쁨을 (점 점) 인정하게 될때, 그것에 대한 증거는 급증하게 될 것이다, 왜냐면 우리는 (더욱) 뭔가를 찾을 것 같기 때문이다 ... 우리가 그 감정을 찾으려고 할때 말이다.   


100점 가능 해 (인정하면 할수록), 아무래도 100점 가능 위한 공부를 더 진행 하게 되겠?       

동물도 즐거움이있어 (인정하면), (인정 안하는 것 보다) 아무래도 더 그 동물의 즐거움에 대해 찾아보려 하겠지=> 
일단,
뭔가를 찾으려 해야 뭔가(증거) 발견할 확률이 올라가겠지=>동물도 기쁨이 있다는 증거는 그에 따라 증가되겠지.


                                                                                                                            * repository: 저장소, 보고



소재: 동물의 감정


매우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우리가 또 다른 생명체가 무엇을 느끼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는 이유다른 종에 있어서 긍정적인 감각 경험의 존재를 부정 해 왔다. 그러나 그에 반대되는 설득력 있는 근거가 없는 상태에서는 <공유>공통적인 진화 기원을 통해 우리와 매우 많은 것을 공유하는 다른 생명체들도 사실상 즐거움을 경험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우리는 능소화의 꿀에 대한 벌새의 반응이나 공을 쫓고자 하는 개의 기대감을 느낄 수는 없다. 그렇지만 <공유 재진술>비슷한 상황에서 우리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러한 감정을 상상할 수는 있다. 우리가 동물에게서 관찰할 수 있는 내용은 우리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공감 능력과 결합하여 동물계가 즐거움의 풍요로운 저장소라는 것에 대해 의심의 여지를 거의 남기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가 동물의 삶에 수반되는 즐거움을 인정하게 될 때 그것에 대한 증거는 급증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 감정을 찾으려 할 때 무언가를 찾을 가능성은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많은 부모, 소아과 의사: 정크, 패스트 푸드 가끔 먹는거, 해로울꺼 있나....
                             
                                                           
                        ↙↖                                     →
Many parents and pediatricians do not consider (the occasional consumption of junk foods or fast foods) to be harmful.
많은 부모님들과 소아과 의사들은 생각하지(여기지 않는다) 정크 푸드나 혹은 패스트푸드의 이따금(때때로) 섭취가 ... 해로운 것으로 말이다. (해롭다고 여기지 않는다)             * consider A to B: A 를 B인 것이라 생각(여기다) 
                                                                              



그러나, 규칙적 섭취 안좋고, 영양을 대체하면 해로움
                                                        s    v1(s가 수동 될때)               v2(s가 능동 할때)         ↙↖
It is harmful, {however}, when these foods are eatenregularly and replace (nutritional foods in the child's diet).                                                                |_~ 하게 O _|                                               n. 식사
그것은 해롭다, 하지만, 이러한 음식들이 먹어질때 규칙적으로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음식들이) 아이들의 음식에서 영양가 있는 음식을 대체할 때 말이다. 

                                                              


문제: 애들이 건강한 음식광고 보다 정크,패스트 푸드 광고에 더 노출이 됨.
                                     => 아이들이 노출 되는p.p (수동 상황 O)     
                
The problem is / that children ② are exposed to many more commercials for junk foods and fast foods than for more healthy or nutritious foods).                                                            ( ~~~ exposed to commercials) 
문제는 이거다 ... 애들이 노출이 되어있다는 거... 더 많은 상업광고에 .. 정크푸드 패스트푸드를 위한 광고에 ... 더욱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음식들을 위한 (광고) 보다는 말이다. 




(광고비용으로) 증명: 안좋은 음식광고 비용(훨 많음) >>>>> 좋은 음식 광고 비용      
                                                                                 SV(일치,+@) 관련글: http://ebayer.tistory.com/932    
                                                                                                                     (S) 
   => 본 V자리 (hit)
In 2004, {for instance}, (food, beverage, candy, and restaurant advertising expenditures) ③ hitting $11.26 billion, while advertising for healthy foods was less than $10 million.                                      * hit - hit - hit
2004년에, 예를들어, 식품, 음료, 사탕, 그리고 식당 광고 비용이 112억 6,000만 달러에 달했다, 반면에 건강한 음식들을 위한 광고는 1000만 달러 보다 적었다. 



                                       패스트, 정크푸드 광고 
칼로리, 지방, 염분, 등등 영양 낮은 음식 광고 => 애들 과체중에 일조 한다고 믿어짐

      (that sv~.) => "that 이하"라고(가) 믿어진다.
| ̄ ̄ ̄ ̄ ̄ ̄ ̄ ̄|        ↗↘           (S)          ↙↖                                                                                     V
It is believed / ④ that (such advertising of foods high in calories, high in fat, high in salt, and low in nutrition) has contributed to childhood overweight
                                      n. 과체중       * A(S) contributes to B: A(S)가 B에 기여하다 (A는 B의 원인 
믿어진다 ... 그러한 음식 광고 ...칼로리가 높고, 지방이 높고, 염분이 높고, 그리고 영양은 낮은 .. 그러한 광고가 아이들의 과체중에 기여한다고 말이다. (과체중의 원인이 된다고 말이다.)  




"애들 입맛 여든까지" 라는 점,(애들 과체중에 일조하는 광고)=>(성인들의 과체중에도 일조) 한다해도 할말 없음.
~ 때문에           ↙ ↖  p.p(~된)             (S)             V                               (~하는 것도) 당연하다, 무리가 아니다
As (eating habitsformed during childhood) often persist / throughout life, such advertising may well contribute to adult overweight / as well
                         마찬가지로
어린 시절에 형성되어지는 식습관이 종종 생애 전반에서 지속하기 때문에, 그러한 광고가 또한 성인 과체중에 또한 기여하는 것도 당연하다.
                                                                                                                              * pediatrician: 소아과 의사



소재: 정크 푸드나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것의 위험성

많은 부모와 소아과 의사들은 정크 푸드(건강에 좋지 못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스턴트 음식)나 패스트푸드를 가끔 먹는 것을 해롭다고 여기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식품이 규칙적으로 섭취되고 아이들의 식사에서 영양 식품을 대체할 때, 그것(정크 푸드나 패스트푸드를 가끔 먹는 것)은 해롭다. 문제는 아이들이 더 건강에 이롭거나 영양가가 높은 식품 광고보다 훨씬 더 많은 정크 푸드와 패스트푸드 광고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2004년에, 식품, 음료, 사탕, 그리고 식당 광고 비용이 112억 6,000만 달러에 달한 반면에, 건강에이로운 식품의 광고 비용은 1,000만 달러에도 미치지 못했다. 열량, 지방, 염분이 높고, 영양가가 낮은 식품에 대한 그러한 광고는 유년기 과체중의 원인이 되었다고 믿어진다. 어린 시절에 형성된 식습관이 흔히 평생 지속하기 때문에, 그러한 광고가 또한 성인 과체중의 원인이 되는 것도 당연하다.




다윈 깨달음: 자연에서의 변화 (자연선택) VS 인간 개입 (원하는 특성 선택시변화

Darwin realized / that change in nature is very slow.
다윈은 깨달았따 .. 자연에서의 변화가 매우 느리다는 걸. 



                                                                                ↗↘  much, even, still, far, by far, a lot
But, {he argued}, we know / that change can be much quicker / when human beings are in charge of the process, selecting the traits they desire in their plants and animals.                      s               v
        분v (s →)
그렇지만, 그는 주장했다, 우리가 알게 된다고.... 변화는 훨씬 더 빨라질 수 있음을 .. 인간이 (변화)과정을 맡고, 그들이 자신의 식물이나 동물에게서 바라는 특성들을 선택할때 말이다. 




"인위적인 선택"이라 부름, 인간은 수천년 동안 그걸 해 옴 
                                                                          = artificial selection (단수=> 대명사 it)
He called this artificial selection, and humans have been doing ② it / for thousands of years.
그는 이것을 "인위적인 선택" 이라 불렀다, 그리고 인간은 그것을 해오고 있다 ..수천년 동안 말이다. 





(이렇게 빨리: 전시목적 부합) 변화  될 수 있구나 ... with certain traits
            V1                           V2                                                         n. 애호가
Darwin bred pigeons, and exchanged many letters with his fellow pigeon fanciers.
다윈은 비둘기를 사육했다, 그리고 많은 서신들을 교환했다 .. 그의 동료 비둘기 애호가들과 말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      V                                                                         ↙↖                    (s')               |  v' 
He knew / just how quickly (the shapes and behaviour of their show pigeons) could change, when the breeders carefully selected (pigeons with certain traits) / for breeding chicks. 
                                              ↖↙
는 알았다 ... 얼마나 빠르게 그들의 (쇼: 전시출품용) 비둘기들의 모양과 행동이 변할 수 있었는지를, 사육자들이 신중히 비둘기를 선택할때 ...새끼 사육을 위한 특정 특성이 있는 비둘기를 말이다.  





농부들도 그렇게 해 오고, 식물 육종자 들도 그렇게 해 오고 있었음  

Farmers had been doing the same thing with their cows, lamb and pigs.
농부들은 같은 걸 해 오고 있었다 .. 소, 양 그리고 돼지 이런것 들로 말이다. 


             ↙ ̄ ̄ ̄② ̄ ̄ ̄ ̄|                  
So ( ↙ ) plant breeders (had been doing) the same thing, too
    ↖_______①___________|so
So ④ were plant breeders when they tried to improve their crops, or produce more beautiful flowers. 
      => had
식물 육종자들도 그렇게 해 오고 있었다 .... 그들이 농작물을 개선시키고자 할때, 혹은 더 아름다운 꽃을 생산하고자 할때 말이다.




양치기개, 불독 다르잖어  

You know how very different a sheepdog is from a bulldog.
당신은 압니다 .. 얼마나 많이 다른지 ...양치기 개가 ... 불독으로부터. 




같은 개로: 양치기 개 (기민한 특성↑), 미관용 개(이쁜 특성 ↑)을 선택 => 원하는 특성대로(다양성)
짝퉁S               진품(의미상)S
| ̄ ̄ ̄ ̄ ̄ ̄ ̄|                                                                             ↙↖
it is easy ⑤ to create variety in animals / if the breeders select (the traits they desire).
쉽습니다 ... 동물들에 있어서 다양성을 만들어 내기가 .. 만약 사육자들이 그들이 바라는 특성을 선택하면 말입니다.



소재: 자연적 선택과 대비되는 인위적 선택

다윈은 자연에서의 변화가 매우 느리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나 그는 인간이 변화 과정을 맡아서 식물과 동물에게서 바라는 특성들을 선택할 때 변화가 훨씬 더 빠를 수 있음을 알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을 '인위적인 선택' 이라고 불렀으며, 인간은 수천 년 동안 그것을 해 오고 있다. 다윈은 비둘기를 사육했고 그의 동료 비둘기 애호가들과 많은 서신을 교환했다. 그는 사육자들이 새끼 사육을 위해 특정 특성을 가진 비둘기들을 신중하게 선택할 때 그들의 전시회 출품용 비둘기들의 외모와 행동이 얼마나 빨리 변할 수 있는지를 알았다. 농부들은 그들의 소, 양, 그리고 돼지를 가지고 똑같은 것을 해 왔었다. 식물 육종가들도 농작물을 개량하거나 더 아름다운 꽃을 생산하려고 시도했을 때 그렇게 해 왔었다. 우리는 양치기 개가 불독과 얼마나 많이 다른지를 안다. 사육자들이 자기들이 바라는 특성을 선택하면 동물에게서 다양성을 만들어 내는 것은 쉽다.




An example of image processing is fingerprint recognition. 
이미지(화상) 처리의 한 예는 지문인식이다. 

                   ↙↖                       p.p↗↘
[Fingerprints of a number of (known criminals)] are taken.
많은 알려진 범죄자들의 지문들이 채취된다.


The print is a black and white image.
지문은 흑백 이미지 이다.


These fingerprints are stored / in computer databases.
이러한 지문들은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When S V~,  SV~.
                   S                           V (수동태)               ↙↖                                                 = it 발견된 지문
When a fingerprint (A) [found / is found] / at (a place where a crime has been committed), it is compared with (those stored in the computer databases).
지문들 ↖↙ p.p 
한 지문이 발견되어질때 ... 장소 ... 범죄가 저질러진 장소에서, 그것은 비교된다 ...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진 그것들(알려진 범죄자들의 지문들)과 말이다. 

                                                                                                                                 (의미전달 따져봐야지...)
                                                                                               a method of ~                      for + N/~ing 이나
Fingerprint experts provide a method of comparison of the prints, and this is used by a computer program for (B) [comparing / comparison] fingerprints. 
 비교 지문들을 (위해) (X) => "지문들을 비교하는 것" 을 (위해, ~에 대한 용도로)
지문 전문가들은 제공한다 ... 그 지문들을 비교하는 방법을, 그리고 이것은(지문비교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어진다 .... 지문들을 비교하는 목적으로 다가 말이다. 


= 앞 줄 내용                                      to Rv①                     (to) Rv②      ↙↖       ↙ 그 사람의 지문이 ~ 인
This reduces considerably [(the time to search through files) and identify prints of those whose prints are close to the ones found at the place where a crime was committed].                               ↖↙ 소/관
                    ↖↙ p.p~ 된           ↖↙
이것은 상당히 줄여준다 ... 파일들(자료)를 검색하는 시간을 말이다... 그리고 범죄가 일어난 장소에서 발견된 지문들과 가까운 지문을 가진 사람들의 지문들을 확인하는 시간을 말이다... 


                                                                                       수일치 관련: http://ebayer.tistory.com/932 
                          ↗↘          | ̄ ̄ ̄ ̄ ̄ ̄ ̄ ̄ ̄ ̄ ̄ ̄ ̄ ̄ ̄ ̄ ̄ ̄ ̄ ̄|          
(Currently available algorithms for fingerprint identification) (C) [has / have] excellent recognition.
현재 지문 (신원) 확인을 위해 이용가능한 알고리즘들은 뛰어난 인식력을 갖고 있다.



= ~ algorithms                     ↙↖ p.p ~ 된
They correctly identify (the person involved) in more than 95% of cases.
그것들은 관련된 사람을 정확하게 (신원) 파악을 한다 ... 95퍼센트가 넘는 사건들에서 말이다.


① found           ........   comparing           .........   has
② found          .........   comparison        ..........   have
③ is found       ........   comparing          .........    has  
④ is found        .......   comparison           ........   has
⑤ is found  .........  comparing     .........   have


소재: 화상 처리의 대표적 사례인 지문 인식 

화상 처리의 한 예는 지문 인식이다. 많은 알려진 범죄자들의 지문이 채취된다. 지문은 흑백 화상이다. 이 지문들이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하나의 지문이 범행이 일어난 장소에서 발견되었을 때, 그것은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들과 비교된다. 지문 전문가들은 지문 비교 방법을 제공하고, 이것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지문들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자료를 검색해서 범행이 일어난 장소에서 발견된 것들과 비슷한 지문을 가진 사람들의 지문을 확인하는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킨다. 현재 지문 신원 확인을 위해 이용 가능한 알고리즘들은 뛰어난 인식력을 갖고 있다. 그것들은 95퍼센트가 넘는 사건들에서 정확하게 관련자의 신원을 찾아낸다. 


  





  | ̄ ̄ ̄ ̄ ̄ ̄ ̄|          * help + + (Rv/to Rv) 양자가능 
Help your teen eat well.            ↘↗ (을) V하도록 돕다.       VS (Cf. 의 유무)           
당신의 십대(자녀)가 잘 먹도록 도와라.                                                       
                                                                                
                                                                                        주어는 V 하는데 도움을 주다. 

                                                                                         S 
help + (Rv/to Rv)

                               ↙↖ P.P                                                                                      (S)              V     Rv
(Balanced mini-meals eaten regularly throughout the day { - rather than heavy meals far apart - }) can help lower stress.                        (which are)
균형 잡힌 소량-식사는 ... 하루 중에 정규적으로 먹어진 - 오히려 (넓은) 간격을 둔 폭식 보다는 -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 ̄ ̄ ̄ ̄ ̄ ̄ ̄ ̄|
                                                                                     S   조V    부사구 ↗    ↘  Rv
It'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good nutrition / since your teen will most likely (A) [prefer / to prefer] junk food.
중요하다 ... 좋은 영양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 왜냐면 당신의 (십대)아이는 정크푸드를 선호랄 것이기 때문이다. 



                                                              앞 두개 ↙↖
In particular, avoid (pseudo-stressors and stimulants such as caffeine, sugar, and processed foods).
특히, 피해라 ....유사 스트레스 인자들 그리고 자극제들을 ... 카페인, 설탕, 그리고 가공된 음식들과 같은. 



                                                                참고가 될만한 글(B번 참조): http://ebayer.tistory.com/859 
                                                                                                         2. 의미상으로 why(이유)가 필요. 
                                                                                                                              what 이 V와 관련이 없다. 
                                                                                                        1. 형태상 [    ] 다음이 SV S.C + (전 + 명)
                           = which (카페인-성분 음료 인기 이유가 되는) 앞 내용                                      완/문
These either raise stress or increase adrenaline stimulation, which is (B) [what / why] caffeine-based drinks are so popular in a stressed-out culture!                
이것들은 스트레스를 높이거나 혹은 아드레날린 자극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그것이 ... (바로) 카페인-성분의 음료가 스트레스문화가 팽배한 문화에서 그렇게 인기가 있는 이유이다.                    결과      이유                이유      결과   
                                                                                                Cf. This is because sv~.  / This is why sv~.
        


                                                                                                          →                           (he is) ↘
Discourage your teen from using caffeine (coffee or sodas) late at night / to help him stay awake while doing homework or studying for a test.
당신의 십대를 단념(못하게)시켜라 ....밤늦게 카페인 사용(마시는걸)하는 걸(커피 혹은 탄산음료)  ....그로 하여금 깨어있도록 하기 위한(해주는)... 숙제를 하거나 혹은 시험공부를 하는동안에 말이다. 




       분사?: 스트레스가 양질의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를 제공한다는 (어이없는) 말이 된다. (말의 앞뒤도 안맞음) 
                                                                    Rv ~ 해라 (명령문) / 동명사? :뒤에 V 껀덕지도 없으며 
Stress can deplete nutrients in the body, / so (C) [provide / providing] your teen with a high-quality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스트레스는 몸속의 영양분을 격감시킬 수 있다, 그러니 당신의 십대자녀에게 양질의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를 제공해라. 
                                                                                    문법 관련 참고글: http://ebayer.tistory.com/932




Add extra B-complex vitamins if he is particularly stressed, as these get depleted the most. 
기타 비타민 B 복합체를 추가해라 ... 그가 특히 스트레스에 쩔어 있다면, 이것들이 많이 (줄어 들게)결핍되기 때문이다.


① prefer         .........        what        .........    provide
② to prefer     .........         what        ........     provide
③ prefer     ........      why    ..........   provide
④ to prefer    .........         why        .............  providing
⑤ prefer        ..........        why       ..............  providing


소재: 십대 자녀의 영양 관리

십대 자녀가 잘 먹도록 도우라. 시간상의 간격을 많이 두고 과식을 하는 것보다는 균형 잡힌 소량의 식사를 하루 동안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십대 자녀는 아마도 정크 푸드를 선호할 것이므로 충분한 영양 공급에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카페인, 설탕, 가공식품과 같은 유사 스트레스 인자들과 자극제들을 피하라. 이것들은 스트레스를 높이거나 아드레날린 자극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그런 이유로 스트레스가 팽배한 문화에서는 카페인이 기본 성분인 음료들이 아주 널리 퍼져 있다! 십대 자녀가 숙제를 하거나 시험공부를 하는 동안 자지 않고 깨어 있는 것을 돕도록 밤늦게 카페인(커피 혹은 탄산음료)을 마시지 못하게 말려라. 스트레스는 몸 안에서 영양소를 격감시킬 수 있으므로 십대 자녀에게 양질의 비타민과 무기물 보충제를 제공하라. 만약 아이가 유난히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비타민 B 복합체를 추가하도록 하는데 이것들이 가장 많이 격감되기 때문이다.






대화시 문제 발생은 말(자체)가 없어서가 X, 말이(너무 ↑) 의미는 (점점↓) 서다. 오잉(?) 무슨말?  

                    ↙↖                                          ~에서 생겨나다
(The problems with our talking together) do not stem from (an absence of words).
우리가 함께 대화할때의 문제는 말의 부재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다. (말의 부재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We have an excessive multitude of words: more words, less and less meaning.
우리는 과도한 무수한 말들이 있다: 더 많은 말들, (근데) 의미는 점점 더 없고 말이다. 



각 대중매체 이목끌려노력 =>말이(↑) 각 다른 관점

 3개 => 복수  
[(A), (B), and (C)]  cf. 나열에서 마무리 and로 한다.
  (A)                                                             (B)                                   (C)
[(Five-hundred-channel television services), (millions of Web sites), and (an endless stream of opinion from every media source about the latest political or social scandal)] (A) [race / races] their way to you / in a wild contest for your attention.                                               [S: 복수]          V 자리
500개 채널 티비 방송, 수백만개의 웹사이트, 그리고 최근의 정치적 혹은 사회적 스캔들에 대해 모든 언론 매체로부터 오는 끝없는 견해가 .... 당신에게 달려(질주)옵니다....거친 경쟁속에서 ... 당신의 이목을 끌려고 말이죠. 

                                       
                                                                                            
  A' B' C' D'                                                                                    A는 A'(커버) B는 B'(커버)였다면 .....

(트래픽 쩔어) 전부 커버할 법한 상식선의 이해(의미)가 있을까? => A(커버 X) B(커버X) => 안됨 

                                                                                                             ↙↖                   
Given so many different perspectives, / we lose sight of any "common sense" we might make of it all
매우 많은 다른 관점들이 주어지면, 우리는 그 모든 것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상식'적인 선에서의 이해는 어느 것이나 못하게 된다
                                                                                                                 
                                     


결과?=> "우리 (트래픽 속)그나마 있었을 법한 (공유되던 의미 표준: A정도였다 치자) 더라도 사라짐 
                                                                         
                          "어떤 ~ 일지(더)라도" ↗↘                                          p.p1                   p.p2       
As a result, (B) ([whenever / whatever] "gold standard" of commonly held and deeply shared meaning <that> might have lain / beneath our words) is scattered and lost.
                    (S )                              V             whatever관련[(B)를 참조]: http://ebayer.tistory.com/454
 
(결과적으로, 그 어떤 표준 ....일반적으로 갖어지고 그리고 깊이 공유되는 의미 .....아마 우리의 말 이면에 있었을 수도 있는 ...이더라도) ....흩어지고 사라지게 됩니다. 
                (S)          
cf. "whatever ~~ words" 까지의 실 S처리와 문장형태는, 이견 있는바 각자 알아서 판단: 
    
 
  

      원어민들 생각 더보기 클릭 



말은 많은데 별 시덥잖
네.(의미 X)
                                 (C) 분사구문 관련: http://ebayer.tistory.com/913 
                                                 →          ↙↖= "~ words"                                                  = and signify (연속)
Our world is filled with piles of words, many of which are full of sound and fury, (C) [signify / signifying] nothing.                                                          |_them(x)______________→(분사구문)___|
우리 세상은 수 많은 말로 차 있습니다, 그 중 많은 것들이 소음과 분노로 차 있습니다, 아무런 것도 나타내지 않죠.
                                             




이건 뭐, 그 표준과 의미가 무엇인지, 어떻게 그것을 회복할 수 있는지 말하기도 난감(^^;;)하군. 
                                            | ̄ ̄ ̄ ̄ ̄ ̄|  | ̄↘                                                      ̄↘ 
Perhaps more critically, we find it very hard / to say (what the gold standard or meaning is), or (how we might restore it).                             가/목               to Rv(진/목)  
아마 더욱 엄밀하자면, 우리는 알게 됩니다 ..말하기 매우 어렵다는 걸...(그 의미의) 표준 혹은 의미가 무엇인지, 혹은 어떻게 우리가 그것을 회복할 수 있는지를 말입니다.  



    (A)                         (B)                    (C)
① race        .......... whenever     ........ signify
② races      .......... whenever     ........ signify
③ race       ..........  whatever      ........ signify
④ races       ........  whatever      ........ signifying
⑤ race ..........   whatever ........ signifying


소재: 말의 과도함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

우리가 함께 대화할 때의 문제는 말이 없는 데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우리에게는 터무니없이 무수한 말이 있다. 말은 더 많지만 의미는  점점 줄어든다. 500개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 수백만개의 웹 사이트, 그리고 최근의 정치적 혹은 사회적 스캔들에 대해 모든 언론 매체로부터 끊임없이 계속 흘러나오는 견해가 여러분의 주의를 끌기 위해 맹렬하게 경쟁하며 여러분을 향해 질주한다. 매우 많은 서로 다른 관점이 주어지면, 우리는  그 모든 것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상식'적인 선에서의 이해는 어느 것이나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하는 말의 이면에 있었을 수도 있는, 일반 사람들이 보통 갖고 있고 깊이 공유하고 있는 의미의 그 어떤 '표준'이라 하더라도 흩어져서 사라진다. 우리 세상은 수많은 말로 가득한데, 그중 많은 것은 소음과 분노로 가득 차 있으며 아무런 의미도 없다. 어쩌면 좀 더 엄밀하게 말한다면, 우리는 그 의미의 표준이 무엇인지, 혹은 그것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지를 말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




A라는 친구 가 ..... "영어 공부법" 알아보는 중 ...... 

many different perspectives 

<학교> 
영어는 교과서면 충분합니다 !

<TV 모 광고 > 영어는 3개월 이상 끌면 바보, 3개월 안에 끝내세요!!

<모 잡지> 영어는 많이 읽고 쓰고, 잼있게 공부하면 됩니다.

<모 신문>영어는 필리핀 유학이면 해결됩니다.  

<모 인터넷>
  무조건 3시간이면 말이 술술 나옵니다!

<깐죽이 특기인 친구> 
영어는 (발)로 공부해도 충분한데 !
.
.
.
.
엥 ..... 뭐래는 거여? 
이건 뭐 .....
"영어가 도대체 ......... 헉,  뭐라는 거여?" 


음 ......이 말들을 어떡해야, 상식적인 이해가 가능하지? 
( "영어에는 왕도가 없다" ?)  내 상식은 대충 이정도인데 .....이걸론 ...택도 없네! 다른 것도 택도 없겠군 !


~~~~

그 결과, 
                                                 영어 공부법 =
어떤 표준도 (일반적 공유되었을 법한 표준"영어에는 왕도가 없다" 정도라 치자
) 흩어지고 사라진다. 


어쩌면 엄밀히는........        

 "영어에는 왕도가 없다" <==== 이게 확실한 표준이라 하기도 좀 그런 것이고
               표준             <====  또, 이자리는 어떻게 회복할 건데 딱히 말하기가.......

.......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 Recent posts